주천설 ()

목차
과학기술
개념
하늘의 중앙이 높고 그 둘레는 낮다는 조선시대의 우주관.
목차
정의
하늘의 중앙이 높고 그 둘레는 낮다는 조선시대의 우주관.
내용

우주의 모양에 관한 여러 가지 생각은 조선 초기에 돌에 새겨 남긴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들어 있는 권근(權近)의 논천설(論天說) 소개에도 나와 있다.

그러나 여기에 들어 있는 혼천설과 개천설을 비롯한 여러 이론 이외에도 조선 중기의 학자 이경창(李慶昌)은 주천설을 독자적으로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이 주장을 저서 『주천도설』에서 설명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저술은 현전하지 않는다.

혼천설을 근본으로 하고 있는 그의 주천설에 의하면 “하늘이란 가운데가 높고 그 둘레는 낮은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하늘의 둘레는 365°와 4분의 1이며, 북극은 지평선에서 36° 솟아올라 있고, 남극은 반대로 36° 내려가 있다. 그리고 이 북극과 남극이 맷돌의 축과 같이 고정되어 회전함으로써 하늘의 천체들을 회전시켜 준다. 하늘은 해와 달과 함께 땅을 둘러싸고 하루 한번 왼쪽(서쪽)으로 도는데, 한 바퀴와 1°를 더 돈다. 해는 조금 더 느리게 돌아서 하루에 1°씩 늦고, 달은 훨씬 느려서 하루에 13° 남짓씩 늦어진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과학기술사(韓國科學技術史)』(전상운, 정음사, 1975)
Astronomy in Korea(Rufus,W.C., Korea Branch of Royal Asiatic Society Transactions, 1936)
집필자
박성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