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군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기본 군대편성의 하나.
목차
정의
고려시대 기본 군대편성의 하나.
내용

고려 군대의 기본편성은 중·전·후·좌·우군의 오군이었는데, 중군은 그 가운데서 중앙에 위치한 부대이다. 그러나 이 오군은 평상시의 군대조직이라기 보다는 전투에 동원하기 위한 편제의 하나로 이해되고 있다.

즉, 오군은 평상시에는 편제상으로만 존재하고 거기에 기간요원들이 배치되어 있다가, 비상시가 되면 원수·부원수 및 각종 병마사 등이 배치되어 지휘체계가 이루어지고, 여기에 6위의 중앙군과 지방의 주진군 등이 징발 배치되어 출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뒤 고려 말에 이르러 군사적인 긴장상태가 오래 계속됨에 따라 오군은 고려 군사조직의 대표적인 존재로 되었다. 오군에 편제된 중군의 직제는 다음과 같다.

병진도지유(兵陣都指諭)·도장교(都將校), 오병도지유(五兵都指諭)·장교도업사(將校都業師), 신기도령(神騎都領)·지유(指諭), 좌경궁도령(左梗弓都領)·지유(指諭), 우경궁도령(右梗弓都領)·지유(指諭), 좌정노도령(左精弩都領)·지유(指諭), 우정노도령(左精弩都領)·지유(指諭), 신보도령(神步都領)·지유(指諭), 석투도령(石投都領)·지유(指諭), 대각도령(大角都領)·지유(指諭), 철수도령(鐵水都領)·지유(指諭), 발화도령(發火都領), 지유(指諭), 도탕도령(跳盪都領)·지유(指諭), 강노도령(剛弩都領)·지유(指諭).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역주(譯註)』1(이기백, 고려사연구회, 1969)
집필자
이재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