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음운체계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음소들의 대립이 어떠한 환경에서 사라지는 음운현상.
목차
정의
음운체계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음소들의 대립이 어떠한 환경에서 사라지는 음운현상.
내용

국어에서는 음절말(音節末) 위치에서 자음의 중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국어의 ‘ㅂ’, ‘ㅍ’, ‘ㅃ’은 어두(語頭) 위치에서는 ‘불[火]’, ‘풀[草]’, ‘뿔[角]’에서 보는 것처럼 서로 대립하여 의미를 구별하는 구실을 하지만 음절말 위치에서는 이 대립은 없어지고 만다.

이 위치에서 이들은 모두 터지지 않는 소리 [{{%100}}] 로 발음되기 때문이다(입[口], 잎[葉]). 현대국어의 음절말 위치에서 일곱 자음밖에 발음되지 않음은 이 위치에서는 한결같이 터짐이 없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ㄷ, ㅌ, ㄸ’과 ‘ㅅ, ㅆ, ㅈ, ㅊ, ㅉ’이 모두 터지지 않는 [{{%101}}] 로 발음되어 중화됨은 특기할 만한 사실이다 (낟[穀], 낱[個], 낫[鎌], 낮[晝], 낯[面]).

이 이론은 1930년대에 음운론에서 발전되었는데, 그 뒤 형태론·통사론으로 확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참고문헌

『국어음운사연구』(이기문, 한국문화연구총서, 1972)
『국어음운학』(허웅, 정음사, 1985)
Grundzu"ge der Phonologie(Trubetzkoy, N. S. , Praha, 1939)
Linguistique, Guide Alphabe-tique(Martinet, A. , Paris, 1969)
집필자
이기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