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암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상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5년에 영인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상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5년에 영인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1985년 후손 동춘(東春)이 유문을 수집하여 편집, 영인하였다. 두에 장회식(張會植)의 서문이, 권말에 방손 동화(東和)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시 233수, 만(輓)35편, 서(書) 20편, 제문 6편, 명(銘)·잠(箴)8편, 서(序) 6편, 기(記) 3편, 잡저 5편, 묘갈명 1편,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천명(天命)에 순응하는 생활태도와 달관적인 인생관이 깊이 있게 표현되어 있다.

서(書)는 안부편지 외에 제자들에게 학문정진에 힘쓸 것과 역사적인 사명의식을 가지고 맡은 바 직분을 다하라는 교훈적인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서(序) 가운데 「향음주례서(鄕飮酒禮序)」에는 향음주례에 대한 유래와 의식절차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잡저의 「만록(漫錄)」에서는 영남 각 서원의 교육제도에 대하여 전반적인 분석과 비판을 가하여, 세월이 흐름에 따라 그 근본취지는 망각되고 개인의 입신을 위한 과거시험 위주의 공부방법이 성행한다고 지적하였다.

또, 인재를 양성하는 구체적인 방법까지 함께 제시하였다. 그 밖에 「자경잠(自警箴)」·「훈몽잠(訓蒙箴)」·「권학잠(勸學箴)」 등에는 저자의 후학양성과 엄격한 학문연구의 자세 등이 잘 나타나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