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헌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지헌유고
지헌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송응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송응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4년 증손 병기(秉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규헌(宋奎憲)의 서문이, 권말에 병기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 상·하에 시 52수, 소(疏) 10편, 계(啓) 4편, 연설(筵說) 1편, 서(書) 6편, 잡저 5편, 발(跋)·논(論)·표(表) 각 1편, 전(箋) 2편, 제문 1편, 부록으로 묘지명·행장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온화하면서도 자유호방하다. 「태평가(太平歌)」는 자신의 처지와 국가의 태평함을 노래한 것이고, 「간열고서평론고인(看閱古書評論古人)」은 『사기』에 나오는 인물들을 평한 것으로, 가의(賈誼)·제갈량(諸葛亮) 등 대표적 인물이 열거되어 있다.

「우지(寓志)」와 「여평관감응(旅平館感應)」 12수는 나그네의 쓸쓸함과 자기의 감회를 잘 표현한 것이다. 소의 「사장령잉진천변소(辭掌令仍陳天變疏)」는 장령을 사직하면서 잇달아 일어나는 천변에 대한 대책을 건의한 글이다.

「인차대진소회계(因次對陳所懷啓)」는 조정의 기강이 점차 해이해짐은 상벌이 밝지 못하여 생기는 것이라 지적하여 국가의 관인(官印)을 임의로 도용한 이가순(李家淳)과 시관으로서 부정을 저지른 홍계석(洪啓錫)을 엄벌에 처할 것을 주장한 것이다.

「희정당소대(熙政堂召待)」는 옥당(玉堂)에 입직하였을 때 왕과 문답한 내용을 적은 것으로, 임금은 백성의 의표가 되므로 민의를 즐겁게 하면 천리도 자연 순종하여 나라가 태평해진다고 진언하였다.

그 밖에 송환기(宋煥箕)를 배종하여 가르침을 받은 사실을 기록한 「성담선생부소지행배종일록(性潭先生赴召之行陪從日錄)」과, 중국 상고의 요(堯)의 무한한 덕을 칭찬한 「제력하유론(帝力何有論)」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현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