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국 ()

목차
고대사
지명
초기철기문화를 배경으로 서기전 3∼2세기경 한반도 중남부지역에 성립해 있었던 정치집단.
목차
정의
초기철기문화를 배경으로 서기전 3∼2세기경 한반도 중남부지역에 성립해 있었던 정치집단.
개설

조선(朝鮮)·진번(眞番)·임둔(臨屯) 등과 공존하였다. 진국에 관한 최초의 기록인 『사기』가 판본에 따라 ‘진번방중국(辰番旁衆國)’, ‘진번방진국(辰番旁辰國)’ 두 계통이 있어 진국을 역사적인 실체로 인정하는 입장이 있다. 반면 진번 곁에 있는 중국(衆國), 즉 여러 나라라는 보통명사로 해석하는 입장도 있다. 따라서 진국이라는 존재 자체를 부인하거나, 또는 진국을 중국 중의 하나로 보는 등 그 설이 다양하다.

내용

진국에 관해서는 『사기』 이외에 “조선상(朝鮮相) 역계경(歷谿卿)이 위만조선의 우거왕(右渠王)과 맞지 않아 동쪽 진국으로 갔다.”는 『위략(魏略)』의 기록과 ‘진한은 옛 진국(辰韓古之辰國)’이라는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의 기록, 그리고 ‘삼한은 모두 옛 진국(三韓皆古之辰國)’이라는 『후한서』 동이전의 기록이 있다.

이들 중 『후한서』를 근거로 하여 진국을 한반도 남부지역의 대부분을 포괄하는 토착집단으로 규정하는 입장이 있다. 또한, 이 지역에 존립하고 있었던 여러 정치집단군 전체에 대한 범칭으로서 ‘신지(臣智)의 나라’라는 뜻을 가진 집합명사로 이해하여, 진국을 삼한 또는 그 일부인 마한·변한의 모체로 설명하기도 한다. 한걸음 더 비약하여 진국을 삼한과 동일시하는 주장도 있다.

이와 달리 『삼국지』의 자료를 취하면서 진국을 중남부 일부 지역에 성립되어 있었던 특정집단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즉, 진국이란 요동(遼東)의 북진한(北辰韓)이 점점 남하하여 지금의 경상도에 최종 정착지를 얻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한반도 중부지역에 세운 정치집단이라는 것이다. 또, 위만(衛滿)에게 쫓겨나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 일대에 자리잡은 고조선준왕(準王)의 치소(治所)가 진국이며, 이 준왕계의 진국이 경상도 지역으로 이동해 진한의 일부를 구성했다는 해석들이 있다.

『사기』·『한서』에 의하면, 진국은 서기전 2세기 후반경에는 중국 한(漢)나라와 직접적인 통교를 희망하였으나, 위만조선이 가로막아 뜻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한나라와 국제적인 교섭을 원할 정도의 집단이라면 위만조선 이전부터 최소한 한반도 서북지역과 빈번한 접촉경험이 있던 선진적인 집단이며, 소규모의 단일 정치체라기보다는 다수의 정치집단을 통할하는 조직체여야 한다.

이 시대의 문화적 선진성 여부는 일반적으로 금속제 유물의 보급도를 통해 평가된다. 그렇다면 진국은 서기전 3∼2세기경 중남부지역의 세형동검문화(細形銅劍文化)의 중심지인 충청남도와 전라도 일대를 중심으로, 청동기 제작과 보급을 통해 원거리 교역을 주관하면서 일정한 범위의 정치집단들을 통할하던 정치적 구심체로 해석할 수 있다.

진국사회는 정치적인 지배자가 농경의례를 비롯한 각종 제사의식과 교역을 주관하는 동시에, 농경기술을 지도하거나 행정·군사 기능을 겸하는 제정일치사회(祭政一致社會)였다. 그리고 이 지배집단의 주된 묘제는 석관묘(石棺墓)와 석곽묘(石槨墓)·토광묘(土壙墓)였다. 경제적으로는 석제 농기구와 목제 따비·괭이를 사용해 벼와 함께 조·기장·수수 등 잡곡을 경작하는 농업경제를 기반으로 한 사회였다.

근래에 조사된 진국시기 지배자의 대표적 분묘유적으로 충청남도 당진 소소리유적, 부여 합송리유적, 전라북도 장수 남양리유적이 있다. 이들 유적에서는 세형동검·동과·동모·세문경과 함께 중국 전국(戰國)계 주조철제도끼·끌 등이 부장되어 있어, 대동강 유역과의 교류관계를 시사하고 있다. → 삼한

참고문헌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한국(韓國) 고대(古代)의 생산과 교역』(이현혜, 일조각, 1998)
『삼한사회형성과정연구(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이현혜, 일조각, 1984)
『조선전사』-고대편-(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6)
「삼한(三韓)의 성립과정(成立過程)」(천관우, 『사학연구(史學硏究)』 26, 1976 ; 『고조선사·삼한사연구(古朝鮮史·三韓史硏究)』, 일조각, 1990)
「삼한문제(三韓問題)의 신고찰(新考察)」(이병도, 『진단학보(震檀學報)』 3, 1935 ;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
「준왕(準王) 및 진국(辰國)과 삼한정통론(三韓正統論)의 제문제(諸問題)」(김정배,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13, 1976)
「진국·삼한급가라(辰國·三韓及加羅)의 명칭고(名稱考)」(정중환, 『부산대학교십주년기념논문집(釜山大學校十周年紀念論文集)』, 1956)
「史實と考證」(三品彰英, 『史學雜誌』 55-1, 1944)
집필자
이현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