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하활룡촌고분군은 통구(通溝) 하구에서 압록강 하류 방향으로 약 16㎞ 떨어진 하활룡촌에서 북서쪽으로 약 8㎞되는 곳에 위치한다. 이 고분군은 하활룡촌 남쪽에 위치한 반원형 충적분지 위에 조성되어 있다. 1977년 겨울집안현 문물보사대(文物普査隊)에서 조사한 적이 있으며, 노호초(老虎哨) 수력발전소에 건설에 따른 수몰지구에 대한 조사의 일환으로 1982년 5∼10월집안현 문물보관소(集安縣文物保管所)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하활룡촌고분군은 동서 1㎞, 남북 1.5㎞의 범위 내에 34기의 돌무지무덤〔積石塚〕이 떼를 이루고 있다. 고분군의 북쪽과 서쪽은 대흑립자산(大黑砬子山)에 둘러싸여 있고, 동쪽과 남쪽은 압록강과 접해 있다. 압록강의 수면보다 약 5m 더 높다.
이 고분군은 무덤의 규모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Ⅰ식은 무덤 한 변 길이가 8∼15m이며 모두 29기에 달한다. Ⅱ식은 한 변 길이가 5∼6m로 크기가 매우 작으며 모두 5기이다. 조영 방식은 양자가 비슷하지만 Ⅱ식은 무덤구덩이의 크기가 특히 작아서 보통 길이 80㎝∼1.1m, 너비 25∼60㎝이다. 무덤의 평면은 원형과 네모모양〔方形〕의 두 가지가 있다. 원형 돌무지무덤은 보통 그 수가 많지 않지만 이 고분군에서는 여러 기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고구려 초기의 돌무지무덤에는 평면이 원형인 것도 다수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무덤의 축조 방식은 대체로 비슷하다.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M8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면, 먼저 무덤 둘레에 지름 50㎝ 가량의 강자갈을 깔고 중심부에는 지름 30∼40㎝ 크기의 강자갈을 이용해 무덤구덩이를 설치하였다. 무덤구덩이의 크기는 길이 1.0∼1.8m, 높이 80∼90㎝이다. 무덤구덩이와 무덤 둘레 사이 공간에도 크고 작은 자갈돌로 채웠으며, 무덤구덩이 상부는 작은 강자갈로 덮었다.
유물은 대체로 M8과 M20에서 주로 출토되었다. M8호 무덤구덩이에서는 철제 고리자루칼〔環頭刀〕과 쇠도끼, 쇠낫, 철제 띠고리 등의 철기와 두귀항아리〔兩耳壺〕와 네귀항아리〔四耳壺〕등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M20 무덤구덩이에서는 불에 탄 사람뼈 1점과 함께 철제 고리자루칼, 청동단추장식, 가락바퀴, 그물추, 유리구슬장식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하활룡촌고분군 무덤 구조 및 출토 유물을 통해서 볼 때 고분군의 조성시기는 중국 동한(東漢)∼한위(漢魏) 교체기에 해당하는 3세기경으로 판단된다. 이 고분군에서는 돌무지무덤만 확인되었는데, 이 가운데 한 변 길이가 불과 5∼6m인 것은 무덤구덩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차장(二次葬)의 습속과 연관된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