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1책. 목판본. 후손 윤섭(允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재(李彙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돈우(李敦禹)의 후서(後敍)와 유주목(柳疇睦)의 지(識), 10대 손 일헌(一憲)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연보 1편, 권2에 시 1수, 부록으로 가장 1편, 행장 1편, 권3∼5에 부록으로 묘갈명·묘지명·묘표·유사·창대서원봉안문(昌臺書院奉安文)·상향축문(常享祝文)·전(傳)·장계(狀啓)·국사(國史)·제현기술(諸賢紀述)·상언초(上言草)·부공산회맹석상창화록(附公山會盟席上唱和錄)·만(輓)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팔공산(八公山)에서 의사들과 모여서 맹서할 때에 지은 것으로, 왜적의 침입에 대한 적개심과 의병을 규합하여 섬멸하겠다는 각오, 선조가 머무르던 의주를 바라보는 심경 등이 묘사되어 있다. 이 시 한수만으로도 기개와 충절을 감지할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경상도 영천(永川) 지방을 중심으로 한 의병과 왜적과의 접전상황과 영천성을 수복한 전후의 경위와 함께 의병들의 활약상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임진왜란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