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동화 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주박 )

목차
관련 정보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후기의 청자 주전자.
이칭
이칭
청자 진사연화문 표형 주자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靑磁 銅畵蓮花文 瓢形 注子)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0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한남동, 삼성박물관 리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청자 주전자.
내용

197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3.2㎝, 몸체지름 16.8㎝, 밑지름 11.4㎝.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고려 무신정권기의 집권자였던 최충헌(崔忠獻)의 손자 최항(崔沆)의 무덤(강화도 소재)에서 석관묘지(石棺墓誌)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따라서 최항이 사망한 1257년(고종 44)은 이 주전자 제작의 하한연대로, 이는 고려청자 편년상 귀중한 자료이다.

형태는 표주박 모양이다. 표면은 연판으로 장식하였는데, 화맥(花脈)은 오목새김하고 연판 가장자리는 붉은색의 동화안료(銅畵顔料)로 칠했다. 몸체 중간에는 연봉오리를 두 손으로 껴안듯이 들고 있는 동자의 모습과 앞뒤로 연잎이 장식되었다. 손잡이의 앞쪽 끝부분은 당초형이며 손잡이 위에는 두 눈이 뚫려있는 개구리형 고리를 앉혔다. 주구(注口)는 연잎을 말아 붙인 형상이다.

연판의 가장자리를 비롯하여 동자의 무릎, 동자가 들고 있는 연봉오리 꼭대기, 주구의 연엽 중심부, 주구와 몸체 사이에 있는 꽃봉오리, 손잡이 끝 당초 사이의 봉오리 등에도 동화안료를 칠했다. 연판문의 일부와 손잡이 모서리, 연줄기 등에 백토로 점을 찍었으며, 동자의 두 눈 및 정수리와 개구리의 정수리에는 철화안료로 점을 찍었다.

유약은 비교적 맑고 빙렬(氷裂)이 없고 광택이 나며, 약간 실투성(失透性)으로 기포가 잔잔하게 깔려 있다. 몸체 아래의 일부는 유약이 덜 녹아 누렇고 불투명하게 변하였다. 굽은 바닥의 유약을 훑어내고 내화토와 모래를 빚어 여덟 군데를 받쳐 번조하였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국보』3 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