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철채 양각 연판문 병 ( )

목차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시대의 청자 병.
이칭
이칭
청자철채양각연판문소병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청자 철채양각연판문 병(靑磁 鐵彩陽刻蓮瓣文 甁)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90년 05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청자 병.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8.1㎝, 입지름 0.7㎝, 밑지름 2.7㎝.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표주박[瓢]이 변형된 형태의 작은 병이다.

내용

상부는 양감이 없이 가늘고 긴 마름모꼴이며, 하부는 원형에 가깝다. 유약은 미세한 기포(氣泡)가 있고 투명하며, 철채가 이루어진 부분은 흑갈색을 띤다. 아가리 부분에는 철채를 두르고 상부 전면에 큼직한 초화문을 양각하고 초화문에 철채를 발랐다. 상부 하단에는 역시 연주문(連珠文)을 양각하고 연주문에 철채를 입혔다. 연주문의 아래는 세로선을 양각하였다.

하부 전면에는 3중 연판문을 면각(面刻)하고 잎맥은 음각선으로 묘사하였다. 굽은 동체에서 접지면에 이르는 부분은 둥글게 하였고 접지면에는 유약을 닦아냈다. 바닥에는 ☼형의 표시가 있으며, ‘宮(궁)’자와 비슷한 문자가 음각되어 있다.

참고문헌

『호암미술관 명품도록』제1권(호암미술관 편, 삼성문화재단, 199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