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신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문과(文科:大科) · 무과(武科) · 잡과(雜科) 등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일컫는 말.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과(文科:大科) · 무과(武科) · 잡과(雜科) 등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일컫는 말.
내용

이들 과거합격자, 즉 출신자들은 시험성적이 우수한 몇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산관직(散官職)인 권지(權知)에 임명되었다.

문과의 경우 갑과합격자(甲科合格者) 3인은 즉시 서용되었지만 나머지 을과·병과 출신 30인은 각각 정8품, 정9품의 계(階)를 받고 성균관·교서관·승문원 등의 권지로 분속되었으며, 무과의 경우는 훈련원·별시위(別侍衛)의 권지로 분속되었다.

이들은 매월 실시되는 월례고사성적과 근무일수의 다소를 기준으로 매년 도목정(都目政)을 거쳐 6품에 이르면 몇 명씩 거관(去官)하게 되어 있었다. 한편 잡과출신의 경우는 그 소속 아문(衙門)의 권지로 분속되었다.

이것은 1425년(세종 7)에 처음으로 마련된 원칙이었고 그 이전에는 비출신자(非出身者)도 권지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뒤에도 제생원(濟生院)·혜민국(惠民局)의 권지는 비출신자도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출신자는 비출신자보다 여러가지 특전을 부여받았다. 즉 잡과의 경우 출신자는 참상관이 될 수 있었으며, 생원·진사 및 유직인(有職人)의 예에 준하여 의금부에서 치죄(治罪)하되 태장(笞杖)은 치지 못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兩班) 연구(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조선초기(朝鮮初期)의 기술관(技術官)과 그 지위(地位)」(이성무, 『유홍렬박사화갑기념논총』, 197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