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새요 (파랑새)

구비문학
작품
동학 농민 혁명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참요(讖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파랑새요」는 동학 농민 혁명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참요(讖謠)이다. 혁명의 실패를 한탄하고 민중의 실망을 우의적(愚意的)으로 나타낸 노래이다. 이 노래에서 전봉준은 녹두 장군을, 파랑새는 일본군을, 청포 장수는 동학군을 지지한 당시 민중을 상징하고 있다. 이 노래는 4음절 4음보의 율격으로 되어 있으며, 사설은 전국적으로 거의 비슷하다.

정의
동학 농민 혁명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참요(讖謠).
파랑새요의 구연층

조선 고종 31년(1894)에 일어난 동학 농민 혁명과 관련된 참요(讖謠)이다. 아이들은 하늘의 뜻을 대변하고, 노래에는 예언적 능력이 있다는 믿음 때문에 참요(讖謠)의 구연층은 주로 아동이었다. 「파랑새요」 역시 주된 구연층은 아이들이었다. 이 노래는 조선 말엽 동학 농민 혁명 때 애창되었으며, 혁명의 실패를 한탄하고 민중의 실망을 우의적(愚意的)으로 나타낸 노래이다.

파랑새요의 역사적 배경

전봉준(18551895)은 동학에 들어가 최시형(18271898)의 문하에서 접장(接長)으로 활동했다. 몸이 왜소하였기 때문에 녹두(綠豆)라 불렸고, 뒷날 녹두 장군이란 별명이 생겼다. 그의 아버지가 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저항하다가 죽음을 당한 것을 계기로, 사회 개혁의 큰 뜻을 품게 된 것으로 보인다. 1894년 동학 농민 혁명을 일으켜 ‘녹두 장군’으로 불리며 한때 맹위를 떨쳤으나 관군(官軍)과 일본군의 무력에 패하여 그 이듬해에 처형되었다. 「파랑새요」를 동학 농민 혁명과 관련하여 해석할 경우 전봉준은 키가 작았다는 점에서 녹두 장군, 파랑새는 군복색과 관련지어 일본군, 청포 장수는 동학군을 지지한 당시 민중으로 볼 수 있다.

파랑새요의 사설 구성

4음절 4음보 율격의 「파랑새요」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사설 구성은 대동소이하다. 지금까지 조사된 자료들 중 몇 편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새야 새야 포랑새야 녹뒤 낭케 앉지 마라/ 녹뒤 꽃이 떨어저마 청포 장사 울고 간다

위 인용문에서 화자(話者)는 파랑새가 녹두 꽃에 앉아 그 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가 울고 가기 때문에 녹두 나무에 앉지 말라고 한다. 이는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는 구성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유지하되 사설 형태가 바뀌는 자료들도 있다.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 잎에 앉은 새야/녹두 잎이 깐딱하면 너 죽을 줄 왜 모르니

화자가 파랑새에게 녹두밭에 앉지 말라고 하는 메시지는 동일하다. 그런데 이유는 청포 장수가 울고가는 것이 아닌, 파랑새가 죽임을 당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파랑새가 일본군임을 감안하면, 마지막 사설은 일본군에 대한 적개심으로 이해할 수 있다.

「파랑새요」 중에는 기존 동요와 결합한 자료들도 조사되었다.

새야새야 포랑새야 녹두 가지 앉지마라/녹두 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간다/새야새야 포랑새야 발이 시려 어찌 자나/덤북 속에 자고 왔지

위 인용문의 전반부는 기존 자료와 동일하다. 그러나 후반부에서는 파랑새의 의미가 일본군이 아닌, 일반적인 동요 속 파랑새이다. 이 노래 구연층이 아동이기 때문에 이러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참고문헌

원전

『한국민요대전 : 전라북도민요해설집』(문화방송, 1995)

논문

정원범, 「한국고대참요연구」(『세종어문연구』 13, 세종대학교 세종어문학회, 1988)

인터넷 자료

조선향토대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