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군현지도 ()

목차
관련 정보
팔도군현지도
팔도군현지도
인문지리
문헌
전국 8도의 군현지도를 수록한 지도집.
목차
정의
전국 8도의 군현지도를 수록한 지도집.
내용

3책. 채색 필사본. 작자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동일한 채색과 필법으로 보아, 관에서 동일인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팔도군현지도집(八道郡縣地圖集)은 같은 내용의 지도이면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8권 8책은 ≪팔도지도 八道地圖≫, 장서각 소장본은 ≪지도 地圖≫라고 되어 있다.

규장각본은 세로 50㎝, 가로 38㎝의 대형 지도책이고, 경기도·충청도·평안도의 3책만이 전하여지고 있으며 책명은 근자에 새로 제책할 때 붙였을 가능성이 높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소장본 모두 규장각본과 같이 30리 간격의 방안, 즉 지도좌표(地圖座標)를 사용한 방격도(方格圖)이다. 국립중앙도서관본의 범례에 매폭마다 반드시 계란(界欄)이 있으며, 난(欄)은 방(方) 30리라고 적혀 있다.

여기에서 계란은 지도좌표 또는 격자를 뜻하며 그 간격이 30리인 것을 알게 된다. 이 좌표의 실제 간격은 약 4㎝로 되어 있으므로 지도의 축척은 약 30만분의 1이 된다.

이 지도는 정조 초에 각각 초산(楚山)과 노산(魯山)으로 개명된 평안도의 이산(理山)과 충청도의 이산(尼山)이 그대로 옛 지명대로 있는 것으로 보아 영조 연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국립중앙도서관본과 장서각본은 지명으로 보아 정조 이후의 사본으로 판명된다. 지도의 내용은 산맥과 하계망을 상세히 그려 지형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좌표와 지도의 주변 군현명을 표시하여 주변 군현과 연결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인접 군현과 연결이 필요할 때는 그 부분을 여백에 삽입하고 점선으로 그 경계를 표시하였다.

산은 녹색, 물은 청색, 읍거(邑居), 즉 읍치는 큰 붉은 색 원, 역(驛)은 작은 붉은 색 원, 변방의 진(鎭)은 청색, 창사(倉社)는 창사 모양의 그림으로 하고 도로는 붉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성(城)과 봉수(烽燧)도 표시되어 있다. 영조대에는 좌표를 사용하지 않은 축척이 군현마다 다른 지도가 많이 작성되었다.

이 지도는 정조대에 널리 보급된 지리좌표지도 또는 방격지도(方格地圖)의 한 예이고, 정부의 필요에 따라서 방위와 거리가 정확한 군현도를 전국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지도』(한국도서관학연구회, 1977)
「팔도군현지도집」(이찬, 『국학자료』 37, 문화재관리국, 1980)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