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세아 ()

목차
관련 정보
팔세아
팔세아
언어·문자
문헌
조선시대 청학 역관을 양성하기 위하여 편찬한 교재. 만주어교재.
이칭
이칭
신석팔세아
목차
정의
조선시대 청학 역관을 양성하기 위하여 편찬한 교재. 만주어교재.
내용

1책. 목판본. 초간본은 ≪삼역총해 三譯總解≫·≪청어노걸대 淸語老乞大≫·≪소아론 小兒論≫과 함께 같은 때에 만들어졌다.

중간본 ≪삼역총해≫의 원간기와 ≪통문관지 通文館志≫에는 1703년(숙종 29)으로 되어 있고, ≪삼역총해원서≫에는 1704년의 연기(年記)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책도 1703년에 작업이 시작되어 1704년에 출판된 것으로 보인다. 이 초판본은 어느 하나도 전하지 않는다.

≪팔세아≫는 ≪소아론≫과 함께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 서사관 장재성(張再成)에 의하여 개간(改刊)되었다. 오늘날에는 이 중간본만이 전한다.

≪통문관지≫ 등에는 ≪신석팔세아 新釋八歲兒≫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다. 함께 개간된 ≪소아론≫ 끝에는 ≪소아론≫과 ≪팔세아≫ 2책의 개간에 붙인 이담(李湛)의 후지(後識)가 붙어 있다. 그 밖에 이 책의 역사와 성격에 대하여는 ≪소아론≫ 및 ≪청어노걸대≫를 참고할 수 있다.

이 책의 내용은 팔세아가 황제 앞에 나가 문답하는 한나라 시절의 옛이야기이다. 비록 간략한 초보자용의 만주어 학습서이지만, ≪삼역총해≫나 ≪청어노걸대≫와는 달리 ≪소아론≫과 함께 그 시원을 여진학서(女眞學書)에 두고 있어 만주어학 연구에 귀중한 가치를 지닌 책이다.

오늘날 ≪팔세아≫는 1777년 개간본이 규장각과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도서에 각 1책이 전하며, 대영도서관(The British Library)과 아라아시문고(濯足文庫, 駒澤大學 圖書館 보관 永平寺藏本)에 각 1책이 전한다. 이 중에서 규장각본이 1956년에 동방학연구소(東方學硏究所)에서 영인, 출간되었다.

참고문헌

『통문관지(通文館志)』
『역과방목(譯科榜目)』
『增訂補注 朝鮮語學史』(小倉進平, 刀江書院, 1964)
「이조중기 이후의 역학자(譯學者)에 대한 고찰」(강신항, 『성균관대학교논문집』 11, 1966)
「이조시대의 역학정책(譯學政策)에 관한 고찰―사역원·승문원설치(司譯院·承文院設置)를 중심으로 하여―」(강신항, 『대동문화연구』 2, 1966)
The Study of Foreign Languages in the Yi Dynasty:1392∼1910 Ⅰ∼Ⅲ(Ki-Joong Song, Journal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54∼56, 한국연구원, 1981∼1982)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