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양당집 ()

목차
관련 정보
편양당집
편양당집
불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승려, 언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7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승려, 언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제자 설청(說淸) 등이 스승의 글을 3년에 걸쳐 모아 1647년(인조 25) 백운암에서 판각하여 용복사에 소장되었다(권1말에 “歲在赤猪暮春之旣望刻于白雲藏於龍腹”). 제자 설청(說淸)의 청으로 동주거사가 서문을, 상산후인(常山後人)이 발문을 각각 지었다.

권두에는 동주산인(東州山人)이 쓴 서(序)가 있고, 권1에는 <우음일절 偶吟一絶>·<산중에서> 등의 오언절구 15수와, <산에 산다>·<답감장로 答鑑長老> 등 오언율시 11수, <쌍송암 雙松庵>·<추산 秋山>·<백설 白雪> 등 칠언절구 54수, <봉래산 蓬萊山>·<삼성대 三聖臺>·<불기시 佛器詩> 등 칠언율시 10수 등 모두 90수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 시문에서 저자가 철두철미하게 선사(禪師)로서의 인생관을 가지고 살았음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가 세간(世間)의 온갖 기쁨과 슬픔, 이해와 득실을 초월한 세계 속에 살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문에 나타나 있는 그의 초월은 단순한 도피나 은둔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을 자각하여 어느 곳에서도 동요하거나 흔들림이 없는 진정으로 초월한 삶을 지향하였고, 또 그 삶을 실제로 보여주고 있다.

권2에는 기(記)·행장(行狀)·발(跋)·권문(勸文)·선교원류심검설(禪敎源流尋劒說)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보개산영은사신창기 寶蓋山靈隱寺新創記>·<묘향산빈발암기 妙香山賓鉢庵記>·<보개산대승암기 寶蓋山大乘庵記>·<봉래산운수암종봉영당기 蓬萊山雲水庵鍾峰影堂記> 등은 사찰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 행장은 <서산행적초 西山行蹟抄>로서 그의 스승이었던 휴정(休靜)을 추모하기 위하여 스승의 행적을 간략하게 적은 글이다.

<경판후발 經板後跋>은 경기도 용복사에서 간행한 불경판을 유포하기 위하여 쓴 글로, 그 속에 ≪화엄경≫·≪법화경≫·≪원각경≫·≪능엄경≫·≪반야경≫·≪범망경≫ 등의 경전과 ≪전등 傳燈≫·≪염송 拈頌≫·≪선요 禪要≫·≪서장 書狀≫·≪선원 禪源≫·≪별행 別行≫·≪서산집 西山集≫이라는 문헌을 열거하고 있다.

이 문헌들은 현재 우리 나라 승려들이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소의경전(所依經典: 각 종파별로 교육수행의 근본지침으로 삼는 경전)으로, 이 경전들이 적어도 언기 이전의 시대부터 승려들의 필독서가 되었음을 알게 하는 좋은 자료이다.

권문으로는 <보현법당권문 普賢法堂勸文>과 <묘향산보현사만세루부와권문 妙香山普賢寺萬歲樓覆瓦勸文> 등 2편이 있다.

권3에는 부모·형제 등 주위 사람들의 죽음을 슬퍼하고 그들을 천도(薦度:지옥의 고통을 벗어나 극락에 오름)하기 위해서 지은 <수륙소 水陸疏>·<천제소 薦弟疏>·<천형소 薦兄疏>·<천양친소 薦兩親疏>·<생전소 生前疏>·<시왕소 十王疏> 등 소 6편과 스승의 은혜를 기리기 위해서 지은 <표훈사입비재사 表訓寺立碑齋詞>의 사(詞) 1편, 언기의 염불왕생관(念佛往生觀)을 알게 하는 <원불표 願佛表> 1편, 엄화상(儼和尙)·방외인(方外人)·남양처사(南陽處士)·고성(高城)·부휴당(浮休堂)·홍법사(弘法師) 등에게 보낸 편지 6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편양당집≫ 권2의 <선교원류심검설>은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글로 평가된다. 이 글에서 저자는 교(敎)와 선(禪)을 두 개의 각기 다른 가르침인 별문(別門)으로 보지 않은 휴정의 영향을 이어받았을 뿐만 아니라, 교(敎) 안에서도 깨달음의 높고 낮은 경지의 구분인 일승(一乘)·이승(二乘)·삼승(三乘) 등의 차별을 인정하지 않고 모든 경(經)은 듣는 이의 근기(根機:깨달을 수 있는 역량)에 따라 설한 것이므로 처음부터 크고 작거나 깊고 얕음의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이 글에서 “화엄(華嚴)이 보여주는 것은 마음이 곧 부처라는 것으로, 삼승교(三乘敎:삼승의 가르침)에서 설하는 근(根)·경(境)의 제법(諸法)이 그것이다. 마음 밖에 경(境)이 없고 경 밖에 마음이 없다. 마음과 경이 일여(一如)하며 진속(眞俗)이 무애(無碍:걸림이 없음)하다.

화엄이란 즉 보리를 얻음이니 그 기(機)가 훌륭한 것이지 교(敎)가 훌륭한 것은 아니다. 아함(阿含)은 다만 깨달음과 공(空)에만 치우친다. 그 기가 둔한 것이지 그 교가 천한 것은 아니다.

이를 미루어 논하자면 만약 근기가 뛰어나 큰 지혜를 이룬 사람은 아함을 듣고도 정각을 이루고, 근기가 얕아 지혜가 천박한 사람은 화엄을 들어도 하늘 밖으로 뛰쳐 나간다.” 하였다.

그는 이 글에서 일종의 교판(敎判:敎相判釋의 준말. 부처님의 가르침을 구분하여 정리 해석함.)을 내세웠는데, 화엄은 연(緣)이 무르익은 보살과 상근기(上根機)의 범부를 위하여 갑자기 보리(菩提:깨달음)를 이룰 수 있음을 설하였다.

아함은 성문(聲聞)을 위해서 사제(四諦)를, 연각(緣覺)을 위해서는 십이인연(十二因緣)을 설하였으며, 방등(方等)은 보살을 위해서 육도(六度)를 설한 것이고, 법화(法華)는 앞의 삼승(三乘)을 위하여 구경아뇩다라삼막삼보리(究竟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설한 것이라고 보았다.

이 글에 의하면 이상의 네 가지 교의 동일한 근본원리가 무엇인가를 물었을 때, 그것은 바로 묘심(妙心)이라고 하였다. 또 선과 교의 관계에 대하여, 선은 교외별전(敎外別傳:말씀 이외에 따로이 전한 가르침)으로서 단적으로 불심을 전하지만, 이것은 최상근기(最上根機)라야 비로소 들어갈 수 있는 최상승(最上乘)이라 하였다.

그러나 세간에는 최상승 근기를 가진 사람이 많지 않기 때문에 선문(禪門)에서도 임시로 교를 빌려 이로(理路:이론)·어로(語路:말)를 만들어서 하근기 사람들을 포섭한다고 설명하면서, 교를 하근기인 사람이 입선(入禪)하는 문호라고 하였다.

또 삼선일미(三禪一味)에 대하여, 의리선(義理禪)이니 조사선(祖師禪)이니 격외선(格外禪)이니 하지만 이것은 수행자의 근기로 말미암은 주관적 차별이지 결코 객관적으로 선을 나눌 수 없으며, 염화미소(拈花微笑)다 할(喝)이다 방(棒)이다 하지만 이에 참여하는 자가 그 의리를 모색하면 의리선으로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이상과 같이 이 책에 수록된 <선교원류심검설>은 그의 사교일리(四敎一理)·교선일문(敎禪一門)·삼선일미 사상을 함께 알 수 있는 중요한 글로, 후세인에게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권성희, 「편양언기의 선사상과 그 시적 형상화」, 『불교문예연구』 11(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8)
『한국의 불교』(이기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서산문도(西山門徒)의 사상」(김항배, 『한국불교사상』 4, 원광대학교 출판국, 197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