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연활자본. 1939년 후손들이 편집, 간행한 『대방세고(帶方世稿)』에 합록되어 있다. 이 책이 수록된 『대방세고』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있다.
『대방세고』 제1책 『미능재집(未能齋集)』의 권두에 홍양호(洪良浩)·윤광안(尹光顔)의 서문이, 제5책 『간호집(艮湖集)』 권말에 종손 시옹(是翁)과 6대손 익효(翊孝)의 발문에 그 간행경위가 언급되어 있다.
권상에 부(賦) 1편, 시 145수, 권중에 소(疏) 4편, 잡저 5편, 제문 2편, 비기(碑記) 1편, 권하에 부록으로 행적(行蹟)·행장·묘표음기(墓表陰記)·사제문(賜祭文)·제문 각 1편, 만사(輓詞) 16편, 노봉서원봉안제문 1편, 춘추향사축문(春秋享祀祝文)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밖에 노봉서원청액소(露峰書院請額疏)와 예조회계(禮曹回啓), 노봉서원사액시치제문(露峰書院賜額時致祭文) 등 3편은 제목만 있고, 본문은 『미능재집』에 실려 있다.
소의 「위율곡우계양선생신변소(爲栗谷牛溪兩先生伸辨疏)」는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에 대하여 신변하는 내용이다.
「사장령잉진소회소(辭掌令仍陳所懷疏)」에서는 임금이 백성을 잘 보호하려면 백성들을 아끼는 수령을 잘 선택하여야 하고, 국가의 원기를 배양하려고 하면 어진 이를 높이고 도(道)를 중요시하며 문학을 숭상하고 학문을 일으킴을 급선무로 삼아야 한다고 논술하였다.
또한 군신간에 있어서 인군은 신하를 예로써 부릴 것이며, 신하는 인군을 충으로써 섬겨야 된다고 역설, 조정에 곧은 신하가 없음을 충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