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사
제도
동학교단의 교구제도.
목차
정의
동학교단의 교구제도.
개설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군이 봉기할 때의 지역 단위의 부대 명칭이다.

설치배경

동학의 교조 최제우(崔濟愚)의 포교 당시에는 접주제(接主制)와 접(接)이라는 교단조직이 설치되었으나 관의 탄압으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

2세 교주 최시형(崔時亨)은 관의 탄압 아래에서도 점차 교세를 발전시켜 1878년에 다시 개접(開接)을 하고, 1884년에는 교단조직의 행정을 담당할 육임(六任)의 직책을 정하였다. 한편, 1880년대 동학교문은 사회·경제적 조건에 힘입어 교세가 급격하게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접(接) 아래에 다수의 새 접이 늘어나면서 그 통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종래 설치되었던 접과 접을 통괄하는 교단조직으로서 포제(包制)가 설시되었던 것이다.

내용

포는 일종의 교구제도이다. 접주가 포주(包主)를 겸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개는 여러 접주 중에 덕망과 통솔력이 있는 접주가 대접주 또는 도접주(都接主)의 이름으로 포주를 겸하였다. 또, 포 안에는 교장(敎長)·교수(敎授)·도집(都執)·집강(執綱)·대정(大正)·중정(中正) 등 육임의 직책을 두어 교단행정을 관할하였다.

그러나 1894년에 이르는 동안 포의 행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학교문의 포조직이 비교적 체계적인 조직과 규모로 나타난 것은 동학교문이 주도했던 1893년 3월 10일(음)의 보은취회(報恩聚會)에서였다.

당시 수만 명의 동학교도가 집결했던 이 취회에서 최시형은 충의·충경·청의·문청·옥의·관동·상공 등 각 포명과 포주의 소임을 수행할 대접주를 임명하였다. 보은취회 이후 동학교문의 각 포는 점차 조선왕조 봉건사회의 변혁을 지향하는 혁명세력을 집결시키는 소임을 수행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 당시에는 농민군을 집결시켜 봉기하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하여 농민전쟁을 수행하는 전투부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였다.

참고문헌

『최선생문집도원기서(崔先生文集道源記書)』
『전정판(全訂版) 동학(東學)과 농민봉기(農民蜂起)』(한우근, 일주각, 1983)
『東學史』(吳知泳, 永昌書館, 1938)
『시천교역사(侍天敎歷史, 1920)』
『시천교종역사(侍天敎宗繹史 ,1915)』
『본교역사(本敎歷史, 1912)』
『동학(東學)과 동학란(東學亂)』(김상기, 대성출판사, 1947)
「전봉준과 동학농민전쟁」 1(이이화, 『역사비평』 7, 1989.11)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의 제1차농민전쟁(第1次農民戰爭)」(신용하, 『한국학보(韓國學報)』 40, 1985.9)
「동학군(東學軍)의 조직(組織)에 대하여」(김용덕, 『한국사상(韓國思想)』 12, 1974)
「전봉준공초(全琫準供草)」
집필자
박맹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