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형분 ()

목차
관련 정보
경남 고성 표형고분 출토 갑옷편
경남 고성 표형고분 출토 갑옷편
선사문화
유적
삼국시대 신라의 묘제인 적석목곽분의 한 형식을 지칭하는 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묘제인 적석목곽분의 한 형식을 지칭하는 용어.
내용

그 형태는 두개의 봉토(封土)가 이어붙어 있는 표주박 모양으로, 고신라에만 유행한 독특한 묘제양식(墓制樣式)이다.

적석목곽분이 그 구조의 특이성 때문에 추가매장이 불가능하여, 시차를 두고 죽은 피장자를 인접시켜 매장하기 위하여 원분(圓墳)의 모양으로 단장분(單葬墳)으로 합장한 것이 표형분이다.

즉, 목곽(木槨)에 적석(積石)을 덮고 위로 봉토를 마련한 형식으로, 보통은 매장주체부가 지하에 설치된 수혈식(竪穴式)이지만, 황남대총(皇南大塚)의 경우는 지상식(地上式)이고, 보문리부부총(普門里夫婦塚)의 경우는 한쪽이 횡혈식(橫穴式)으로 되어 있다.

이는 신라고분이 적석목곽분에서 횡혈식석실고분(橫穴式石室古墳)으로 교체되어가는 과도기적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시차를 둔 묘제의 축조로 인하여 비교적 묘곽조영(墓槨造營)의 선후는 찾기 쉬운 점이 있다. 현존하는 대표적인 표형분으로는 황오리 14호분과 대릉원(大陵宛)에 위치한 제90·96·97호분, 황남대총(제98호분) 등이 있다.

참고문헌

『신라고분연구(新羅古墳硏究)』(최병현, 일지사, 1988)
「고신라적석목곽분(古新羅積石木槨墳)의 변천(變遷)과 편년(編年)」(최병현, 『한국고고학보(韓國考古學報)』10·11, 1981)
집필자
안승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