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낙월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하낙월리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0.61㎢
둘레
5.0㎞
소재지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하낙월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하낙월도(下洛月島)는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하낙월리에 있는 섬이다. 북동쪽의 상낙월도와는 제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낙월도에는 낙월면사무소를 비롯하여 우체국, 경찰 파출소, 해양경찰서 출장소, 보건지소, 초등학교 분교장 등이 있다. 많은 주민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으며, 새우젓으로 유명하다.

키워드
정의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하낙월리에 있는 섬.
개설

하낙월도(下洛月島)는 동경 126° 14′, 북위 35° 21′에 위치한다. 법성포(法聖浦)에서 남서쪽으로 29㎞ 떨어진 지점에 있다. 면적은 0.61㎢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5.0㎞이다. 북동쪽에 위치한 상낙월도(上落月島)제방(堤防)으로 연결되어 있다.

명칭 유래

낙월도 가운데 아래에 있는 섬이어서 하낙월도라고 부른다. 조선 초기에는 진월도(珍月島)라 불렸으나, 『해동지도(海東地圖)』『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 고지도에는 낙월도(落月島)로 기록되어 있다.

낙월은 ‘진다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진다리’는 진흙(펄)이 많은 곳을 의미한다. 이후 ‘진들>진덜>진달>진달이’로 되면서, ‘진’자는 달이 진다는 개념으로 전이되어 떨어질 ‘낙(落)’ 자와 달 ‘월(月)’로 표기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는 섬의 모양이 달이 떨어지는 것과 같아 낙월이라 하였다고도 전한다. 진월도(珍月島) 역시 ‘달이 진다’라는 의미가 한자화된 것이다.

자연환경

지질은 주로 백악기 신라층군으로 형성되어 있다. 섬 크기에 비하여 비교적 기복이 큰 산지(최고 높이 109m)가 남북 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남동쪽 사면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여 농경지와 취락이 분포한다. 해안은 동쪽을 제외한 대부분이 암석 주1으로 높은 주2가 발달해 있다. 상낙월도와 마주 보고 있는 동쪽 바다에는 넓은 간석지(干潟地)가 펼쳐져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1.7℃, 8월 평균 기온은 26.1℃, 연 강수량은 1,164㎜이다.

현황

2022년 기준으로, 인구는 72명(남 49명, 여 23명)이며, 세대수는 56세대이다. 취락은 하도마을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밭 0.18㎢, 주3 0.37㎢이다. 주민들은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농산물로는 보리, 콩, 마늘, 참깨 등이 생산된다. 주요 해산물은 낙지, 바지락, 새우, 전어, 김, 톳 등이며, 특히 새우젓이 특산품이다. 교통은 하낙월도항과 상낙월도항에서 염산면 향화도항으로 연결되는 여객선이 있다.

하낙월도는 상낙월도와 제방으로 연결되어 있어 생활권은 상낙월도와 같다. 그리고 상낙월도에는 낙월면사무소를 비롯하여 낙월우체국, 영광경찰서 파출소, 목포해양경찰서 출장소, 낙월보건지소, 염산초등학교 낙월분교장 등이 밀집해 있다. 2023년 기준, 낙월분교장의 학생 수는 4학년 1학급에 2명이 전부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도서지』 (내무부, 1985)
『도정백서』 (전라남도, 1981)
『영광통계연보』 (영광군, 2022)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해동지도(海東地圖)』

인터넷 자료

해양수산부 연안포탈(coast.mof.go.kr)
주석
주1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2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3

숲과 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