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이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시조.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작자가 편찬하고 1803년(순조 3)안시중(安時中)에 의하여 6권 3책으로 간행된 백운동서원지(白雲洞書院誌)인 『죽계지(竹溪誌)』의 초간본 제1권 행후록(行後錄)에 실려 전한다.

내용

내용은 다음과 같다. “ᄇᆡ호고 닛디 마애 먼ᄃᆡᆺ 벋 즐거오니/내게 옷 이시면 ᄂᆞ미아 아나마나/부귀(富貴)ᄅᆞᆯ 부운(浮雲)ᄀᆞ티 보고 곡굉이침(曲肱而枕)ᄒᆞ오.”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서두의 글과 술이편(述而篇) 열다섯 번째 글을 연결하여, 부귀에 연연해 하지 않으며 학문에 정진하는 자세를 노래하였다. 작자 자신의 심회를 읊었다기보다는 경전의 내용을 교훈적인 목적 아래 노래로 엮었다.

참고문헌

『조선조 영남시가의 연구』(이동영, 형설출판사, 1984)
『한국시조문학전사』(朴乙洙, 성문각, 1978)
『시조개론』(이태극, 새글사, 195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