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휘 ()

고사책장도(함세휘 작)
고사책장도(함세휘 작)
회화
인물
조선후기 「고사책장도」, 「부사산도」 등을 그린 화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강릉(江陵)
주요 관직
도화서 별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고사책장도」, 「부사산도」 등을 그린 화가.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화원으로 교수를 지낸 함제건(咸悌健)의 아들이며, 역시 화원으로 교수를 지낸 김구성(金九成)의 사위고, 김두량(金斗樑)의 외삼촌이며, 함도홍(咸道弘)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화원으로 도화서(圖畫署)의 별제(別提)를 지냈다. 1718년(숙종 44)『경종선의후가례도감의궤(景宗宣懿后嘉禮都監儀軌)』의 제작에 참여하였고, 1719년 통신사행(通信使行)의 수행화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1733년(영조 9)박동보(朴東普)·양기성(梁箕星)과 함께 영조어진도사(英祖御眞圖寫)에 참여하였으며, 1744년 이성린(李聖麟) 등과 함께 「장조헌경후가례반차도(莊祖獻敬后嘉禮班次圖)」를 제작하였다.

『고화비고(古畫備考)』에 그가 도일시에 그렸던 「부용봉도(芙蓉峰圖)」가 19세기까지 일본땅에 유전하였음을 기재하고 있으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현재 그의 작품으로 「고사책장도(高士策杖圖)」(간송미술관 소장)와 「부사산도(富士山圖)」(1719, 일본 개인 소장) 등이 전하고 있다.

절벽 위에서 화면의 상반부를 가리며 굽어진 소나무를 등 위에 두고 소요하는 고사의 한가로운 모습을 묘사한 「고사책장도」는 소재와 구도, 필묵법과 옷주름 처리 등에서 조선시대 중기에 유행하던 절파풍(浙派風)을 짙게 반영하고 있다. 이 그림으로 보아 그는 조선 중기와 후기가 엇갈리는 전환기에서 보다 전통적인 화풍을 따랐던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간송문화 18: 도석인물화』(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80)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17·18세기의 한일간 회화교섭」(홍선표, 『고고미술』143·144, 197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