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성사 ()

목차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탄현문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가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탄현문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가 창건한 사찰.
내용

936년(태조 1)태조가 광흥사(廣興寺)·미륵사(彌勒寺) 등과 함께 창건하여 현성사(現聖寺)라 하고, 밀교종파인 신인종(神印宗)의 본산으로 삼았다.

의종 때 사찰의 명칭을 바꾸었으며, 1130년(인종 8) 4월에 문하시중 이공수(李公壽)가 양부의 대신과 회의하여 이 절에 재(齋)를 베풀고 국가를 위한 기도를 드리게 하였다. 특히, 명종과 고종은 자주 이 절에 들러 재를 올렸다. 1176년(명종 6) 5월명종이 친히 제석재(帝釋齋)를 열었고, 고종은 1217년(고종 4) 4월과 12월에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을 열었으며, 1229년 5월 기우제를 지냈다. 고종은 강화도로 천도하였던 기간을 제외하고는 매년 한두 차례씩 이 절에 행차하기를 잊지 않았다.

원종도 자주 이 절에 들러 국가의 안위를 기원하였는데, 1273년(원종 14) 5교 양종의 승려들을 모아 도량을 열고 남산궁(南山宮)이 적으로부터 평온을 되찾기를 기원하기도 하였다. 1275년(충렬왕 1)충렬왕이 공주와 더불어 이 절에 행차하여 원나라 황제의 축수를 기원하였고, 1278년 4월 이 절의 신궁(新宮)을 복원하도록 하였으며, 1295년 이 절에 행차하여 죄인들을 놓아주라는 명을 내리기도 하였다.

1297년 공주와 함께 이 절에 들러 궁중에 있는 쌀 100석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하사하도록 명하고 공주의 복을 기원하였다. 그 뒤에도 이 절에는 충숙왕과 공민왕의 행차가 있었다. 호국의 뜻을 간직한 밀교의 사찰이었던 이 절은 국가의 재난이 있을 때 왕이 자주 행차하였던 곳이다. 그러나 폐사연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만,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까지는 존립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