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춘 마적달 유적 ( )

고대사
유적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珲春市) 마적달촌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무덤탑과 벽돌무덤. 묘탑 · 전축분.
정의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珲春市) 마적달촌에 있는 남북국시대 발해의 무덤탑과 벽돌무덤. 묘탑 · 전축분.
개설

혼춘 마적달유적은 마적달향에서 북쪽으로 약 1㎞ 떨어져 있는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 산기슭 아래로는 혼춘하가 북쪽에서 남서쪽을 향해 흘러간다. 1973년 6월 길림성박물관과 연변박물관, 혼춘현문화관에서 발굴조사하였다.

내용

마적달유적은 지상의 탑과 지하의 널방[地宮, 玄室], 널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건축물은 모두 벽돌과 돌을 사용하여 축조되었다. 지상에 축조된 탑은 벽돌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원래 7층 탑이었으나 1921년 무너지고 탑의 기초 부분만 남아 있다. 탑 주변으로는 먼저 남북 13m, 동서 10.3m 범위까지 푸른빛이 도는 회색 벽돌을 지면에 깔았다. 탑은 그 가운데에 위치하며, 남북 4.95m, 동서 4.8m로 평면은 네모모양이다. 탑의 기초는 널방 천장부의 판돌 위쪽으로 세워졌는데 벽돌을 엇갈려 쌓아 축조하였다. 널방의 천장에서 탑 아래 기초 벽체까지 속은 비어 있다. 탑 아래 벽체는 지하 부분이 70㎝, 지상 부분은 60㎝ 높이로 남아 있다. 또한 벽체 네 모서리에는 보호벽이 남아 있다.

널방 역시 네 벽은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벽체 위로 벽돌로 4단의 평행고임을 한 뒤 길이 3.61m, 너비 3.4m, 두께 50∼70㎝에 이르는 판돌 2개를 덮어 천장을 마감하였다. 널방의 길이는 2.7m, 너비는 1.86m, 중심 높이는 2.3m이다. 널방 바닥에는 널받침[棺臺]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중년 남성의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의 아래턱뼈, 척추뼈, 갈비뼈, 팔·다리뼈가 확인되었다. 널방 안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금동못과 철제 문빗장, 쇠못, 붉은 칠을 한 작은 단지의 아가리, 여러 문양의 벽돌 등이 있다. 널방의 기초 부분은 먼저 지하 5m 깊이로 굴토한 뒤, 1층의 황토를 깔아서 다지고 3층의 판돌로 쌓은 뒤, 그 위로는 또 다시 1층의 황토를 깔아서 다져 만들었다. 널방 네 벽과 천장에는 백회를 발랐다.

널길은 널방 남벽의 가운데로 입구가 나 있다. 지상을 향해 비스듬한 계단식으로 축조되었다. 전체 길이는 10m이며, 너비는 북쪽이 좁고 남쪽은 넓은데 남쪽 너비는 2.6m, 입구 너비는 1.5m이다.

의의와 평가

마적달유적의 탑은 대체로 중국 당나라 시기의 불탑(佛塔)과 비슷하며, 정효공주무덤과는 탑 기초의 평면은 물론 널방의 구조와 규모, 축조법 등 여러 방면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 유적은 탑과 결합된 형식의 무덤으로 볼 수 있으며, 정효공주무덤과 비슷한 8세기 말 무렵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琿春縣文物志』(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文物考古工作三十年』(文物出版社, 1979)
「琿春馬滴達渤海塔基淸理簡報」(張錫瑛,『博物館硏究』1984年 2期)
「渤海貞孝公主墓發掘淸理簡報」(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社會科學戰線』1982年 1期)
집필자
정원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