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만선 ()

산림경제
산림경제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사복시정, 상주목사 등을 역임하였고, 『산림경제』 등을 저술하며 실용후생(實用厚生)의 학풍을 일으켜 실학발전의 선구적 인물로 평가되는 학자.
이칭
사중(士中)
유암(流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3년(인조 21)
사망 연도
1715년(숙종 41)
본관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주요 관직
공조좌랑|정랑|익위(翊衛)|사옹원부평부사|상주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사복시정, 상주목사 등을 역임하였고, 『산림경제』 등을 저술하며 실용후생(實用厚生)의 학풍을 일으켜 실학발전의 선구적 인물로 평가되는 학자.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중(士中), 호는 유암(流巖). 아버지는 예조참의 홍주국(洪柱國)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6년(현종 7) 진사시에 합격하고, 30세에 음보(蔭補)로 벼슬길에 올라 내직으로는 1682년(숙종 8)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 의금부도사, 공조의 좌랑·정랑, 익위(翊衛), 사옹원·사재감·장악원·사복시 등의 정(正)을 지냈다.

외직으로는 연원찰방, 함흥·대구 등지의 판관, 대흥·합천·고양·배천·단양 등지의 군수, 인천·부평의 부사, 상주목사 등을 거쳤다.

인망이 높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벼슬생활에서는 당대의 순량리(循良吏: 법을 지키면서 백성을 잘 다스리는 관리)로 꼽혔다. 당론(黨論)의 대립이 심하였던 당시 판단을 공정히 하여 많은 인사들이 그를 찾아 의견을 들었으며, 부족함이 없고 결점이 없는 선비라는 평을 받았다.

연로할 때 지은 『산림경제(山林經濟)』 4권은 대표적인 향촌경제서로서 사대부의 산림생활의 지침서가 될 뿐만 아니라 농업기술에 관한 한 18세기 이후 새로운 농서(農書) 발간에 기여가 컸다.

유형원(柳馨遠)과 동시대의 인물로서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실용후생(實用厚生)의 학풍을 일으켜 실학발전의 선구적 인물로 평가된다. 유중림(柳重臨)·서유구(徐有榘) 등 학자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귀록집(歸鹿集)』
「농서약사(農書略史)」(김용섭, 『농서』, 아세아문화사, 198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태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