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만용 ()

홍만용 글씨
홍만용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참의, 예조판서, 우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정간(貞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1년(인조 9)
사망 연도
1692년(숙종 18)
본관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주요 관직
겸문학|시강관|부응교|이조참의|예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참의, 예조판서, 우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대사헌 홍이상(洪履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참판 홍영(洪霙)이고, 아버지는 영안위(永安尉)홍주원(洪柱元)이며, 어머니는 정명공주(貞明公主)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2년(현종 3)에 통덕랑으로 정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1663년 지평·정언, 1664년 수찬·교리·이조좌랑 등을 역임하고, 1665년 판결사 김소(金素)를 청선(淸選)에 천망하지 않았다 하여 한때 파직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되어 수찬·헌납을 역임하였다.

1666년 중시문과에 다시 장원급제, 교리·겸문학·시강관·부응교·이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다시 대사간이 되고, 1676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대상(大祥) 때에 크게 취한 죄로 파직되었다. 1680년 경기도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대사헌이 되었다.

1689년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공조·예조·이조 등의 판서를 역임하고 우참찬·지경연사(知經筵事)에 이르렀다. 이 해에 기사환국으로 사직하고 고향인 고양으로 돌아가 오직 음주로써 세월을 보내며 세상일을 말하지 않았다.

왕실의 지친이면서도 직언을 서슴지 않아 숙종이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을 귀양보낼 때에는 조정에서 감히 아무도 이를 말리지 못하였으나 이들을 위하여 적극 원통함을 풀어 구제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현종개수실록(顯宗改修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지수재집(知守齋集)』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