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이섭 ()

홍이섭
홍이섭
근대사
인물
해방 이후 『조선과학사』,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역사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4년
사망 연도
1974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조선과학사』,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역사학자.
개설

아버지는 홍병선(洪秉璇)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33년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38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서울기독교청년회학교 교사가 되었다. 8·15 광복 이후 국학대학,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를 역임했고, 1953년부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수가 되었다.

그 뒤 사학과장·문과대학장·동방학연구소장·출판부장 등 교내 보직을 맡기도 하였다. 1966년에는 연세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광복 이후 줄곧 교수직에 있으면서, 학계와 사회 각 분야의 학술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서울특별시 문화위원회 학술부위원·해군본부 전사편찬실편수관·역사학회회장·고시위원회 보통고시위원·문교부 국사편찬위원회위원·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한국위원회위원·국민사상연구원 전문위원회위원·사법고등고시위원·민족문화추진위원회 이사·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 이사·민족문화협의회위원·문화공보부 문화재보존위원회위원·원호처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위원·재단법인 외솔회 회장·세종대왕기념사업회 상임이사 등을 거쳤다.

1967년에는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 되었다. 대학에서 후진을 양성하는 한편으로 한국사 연구에 몰두, 창의적인 연구성과를 냄으로써 한국사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젊은 시절엔 정약용(丁若鏞)의 실학사상과 한국의 과학사에 특히 관심이 많았으나 먼저 학문적인 성과가 활자화된 것은 과학사 쪽이었다.

홍이섭이 쓴 『조선과학사(朝鮮科學史)』는 1944년 일본 동경(東京)에 있는 출판사에서 일본어로 출판되었으며, 1946년 한글로 번역, 정음사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한국의 과학사를 전시대에 걸쳐 종합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저술로서 그 뒤 한국의 과학사 연구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러나 홍이섭이 가장 관심을 두고 학문적인 매력에 빠져 든 것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였던 정약용의 학문이었다. 1936년에 정약용의 ‘별세백년기념행사’에 관한 기사가 신문과 잡지에 크게 다루어지고 있었던 데서 영향을 받았던 것 같다. 그러나 그 때는 본격적으로 연구를 하지 못했는데, 이는 정약용의 문집을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1954년에야 비로소 정약용의 문집인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입수, 연구에 몰두하였고, 그 연구결과가 1959년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이 연구는 조선 후기의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의 사상에 대한 본격적이고도 종합적인 첫 연구성과였다는 데서 크게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이 업적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생을 한국사 연구에 전념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사상의 맥락을 여러 각도에서 인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한국사상사 연구의 관심은 시대에 따라 그 내용이 달랐다. 1950년대에 관심을 기울인 것은 주로 조선 후기의 실학과 천주교였으나, 1960년대부터는 한국의 독립운동사 연구에 골몰하여 특히 그 시대의 정신사를 연구과제로 삼았다.

이와 동시에 한국의 문학작품을 한국사 연구에 활용하는 가능성도 보여 주었다. 문학작품을 통해 그 시대의 사회적인 현실과 시대정신을 인식하고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 같은 방법은 앞으로의 한국사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 뜻이 크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결실은 1975년에 출판된 『한국정신사서설(韓國精神史序說)』로 나타났다.

홍이섭의 사학활동에서 또 하나 특기할 것은, 여러 신문과 잡지에 발표한 글들이 매우 많았다는 사실이다. 평소 머리에 떠오르는 짧은 생각들을 글로써 정리해 둘 필요 때문에도 원고청탁에 응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끝으로 홍이섭은 언제나 일제 관학자들의 한국사 연구 태도에 매우 비판적이었는데, 이는 한국사 연구에서 실증적인 연구보다는 그 인식과 이해에 노력하였던 그의 연구태도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저술로는 『조선과학사(朝鮮科學史)』·『세계사와 대조한 조선사 도해표』·『한국해양사(韓國海洋史)』(공저)·『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연구』·『한국사의 방법』·『The History of Korea』(공저)·『세종대왕 전기』·『Korea's Self―Identity』·『한국근대사』·『한국정신사서설』 등이 있으며, 이 밖에 수백 편의 논문 및 잡기(雜記)를 발표하였다.

참고문헌

『인문과학(人文科學)』 32(연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7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