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효산리 및 대신리 지석묘군 ( )

목차
관련 정보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과 춘양면 모산마을 · 지동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탁자식과 기반식 구조의 고인돌군. 지석묘군. 사적.
목차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과 춘양면 모산마을 · 지동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 탁자식과 기반식 구조의 고인돌군. 지석묘군. 사적.
개설

1998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지석묘군은 1995년 12월 이영문(李榮文)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보고되었다.

이 지석묘군은 효산리와 대신리를 연결하는 보검재(寶劍峙) 양 계곡의 동쪽 산기슭을 따라 분포되어 있다. 이 고갯길은 예로부터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고개를 관통하는 화재 진압도로 개설과 여흥민씨 세장산의 묘역으로 가는 진입로를 개설함에 따라 도로 주변에 있던 많은 지석묘들이 파괴되거나 이동되었다.

내용
  1. 대신리 지석묘

대신리 지석묘는 해발 65m에서 125m 사이에, 도곡면 효산리 지석묘는 45m에서 90m 사이에 있다. 그리고 평지에서의 높이인 비고(比高)는 각각 60m와 45m이다. 효산리와 대신리에는 13개 군에 287기의 지석묘와 309기의 추정 지석묘까지 총 596기가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곳을 중심으로 반경 4㎞ 주변에 50개 군 400여 기가 밀집 분포되어 있다. 그래서 총 1,000여 기 이상으로 영산강 유역에서는 가장 많이 밀집된 것으로 보인다. 산 정상 부근에는 거대한 암벽과 괴석형 석재들이 있는데, 채석장으로 추정된다. 그 주변에는 상석 형태와 유사한 석재들이 많이 있다.

대신리 C군에서 발견된 채석장의 뚜렷한 흔적과 석실의 흔적, 지상에 노출된 하부구조 위의 상석의 모습은 주변에 산재한 상석 형태의 석재들과 더불어 지석묘 성격에 관한 종합적인 면을 볼 수 있다.

  1. 효산리 지석묘

효산리 지석묘군이 분포하는 곳은 보검재(해발 188.5m)의 산기슭인 서북방에서 효산리 모산마을 앞까지 뻗어 있다. 이 일대에 분포한 지석묘 수량은 측량에서 드러난 총 1,124여 개의 석재(石材) 중 지석(支石) 등 하부구조가 드러난 것 25기, 상석으로 보이는 것 133기 등 총 158기가 지석묘로 추정된다.

그리고 현재 상석의 하부가 매몰되어 있거나 도괴된 것 중 상석의 형태를 보이는 석재가 119기 이상이나 된다. 효산리 지석묘는 확실한 지석묘이거나 지석묘를 축조하기 위해 채석해 옮겨온 것을 포함하면 적어도 277기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효산리 지석묘군은 산에서 흘러내린 조그마한 계곡을 경계로 해서 형성된 구릉상 기슭과 지석묘군의 밀집 분포 정도로 구분되는데, 모두 7개군으로 나뉜다.

춘양면 대신리 지석묘는 보검재에서 지동마을로 뻗어 있는 산 구릉상에 분포하고 있다. 지동마을은 구릉의 끝자락에 위치한다. 지석묘는 마을과 주변 농경지 등에 분포하고 있다. 대신리 지석묘는 세장한 계곡평지 끝 부분(해발 70m)부터 계곡 중턱(해발 120m)에 이르는 약 1㎞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지석 등 하부가 드러난 것 22기, 상석으로 보이는 것 105기, 석실 2기 등 129기가 지석묘로 추정된다. 그리고 하부가 묻혀진 석재나 상석의 형태를 보이는 것이 적어도 190여 기 이상이어서 원래 지석묘이거나 지석묘 상석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은 300여 기 이상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사된 지석묘 중 지석이 있는 기반식 지석묘는 23기이다. 지석묘군은 석재의 군집이나 산 계곡을 따라 모두 6개 군으로 구분된다.

특징

화순 효산리 및 대신리 지석묘군의 특징은 거대한 규모의 상석들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춘양 대신리에서 발견된 국내 최대 규모의 상석이 존재하고 있는데, 그 규모는 길이 7.3m, 폭 5m 두께 4m로 무게는 약 200여 톤으로 추정된다. 도곡 효산리의 지석묘는 길이 5.3m, 폭 3.6m, 두께 3m로 무게는 약 100톤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지석묘들은 평지를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높은 대지상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채석장과 그 주변에서 발견된 석실과 상석 아래 노출된 석실 등이 있는 지석묘군이 있어 지석묘의 축조 과정을 추정할 수 있다.

지석묘군의 형식과 구조를 보면 외형적인 구조에서 탁자식과 기반식 형태를 모두 볼 수 있고, 탁자식의 변형 형태인 지상석실형이 발견되었다.

참고문헌

『화순 지석묘군』(이영문·김승근, 목포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 1999)
「능주목의 고고학적 배경」(이영문, 『능주목의 역사와 문화』, 1998)
「전남의 지석묘」(이영문·조근우, 『전남의 고대묘제』, 199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