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계사 ()

목차
국악
작품
전창(傳唱) 12가사.
목차
정의
전창(傳唱) 12가사.
내용

작자·연대는 미상이다. 모두 8마루(節)로 되어 있다. 1·3·5·7마루와 2·4·6·8마루는 같은 선율의 반복이며 1·2마루, 3·4마루, 5·6마루, 7·8마루로 각각 쌍을 이룬다.

노래할 때 속소리(假聲)를 많이 사용하며 요성법(搖聲法)은 아악과 남도민요의 요성법을 섞어 사용한다. 퇴성법(退聲法)은 평조(平調)에서 보이는 황종(黃, Eb)에서 남려(南, C)로, 중려(仲, Ab)에서 태주(太, F)로 퇴성하는 현상이 많이 보인다.

전성(轉聲)은 4도 상행할 때 가볍게 한다. 조(調)는 뚜렷하게 구별할 수 없고 평조와 계면조(界面調)가 섞여 있는 모습이며, 마침법(終止法)은 시조와 같이 4도 하행 종지한다.

반주는 다른 가사곡들과 마찬가지로 없어도 무방하나 피리·대금·장구 등으로 편성된 수성(隨聲)가락으로 연주하며 이 때 해금을 곁들이기도 한다. 장단은 4분의 6박이다. 하규일(河圭一)에 의하여 전창되어 현재에 이른다. 『삼죽금보(三竹琴譜)』에 거문고보로 전한다. 사설은 임과 이별한 뒤의 허전한 마음을 그린 내용이다.

일조낭군(一朝郎君) 이별후에 소식조차 돈절(頓絶)하다/

지화자 좋을시고, 좋을 좋을 좋은 경(景)에 얼시구 좋다 경이로다/

지화자 좋을시고/…….

참고문헌

『하규일·임기준전창 십이가사』(장사훈,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국악총론』(장사훈, 정음사, 1976)
『가사보』(이주환, 국립국악원, 196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