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집중 ()

목차
관련 정보
황집중필 묵포도도
황집중필 묵포도도
회화
인물
조선시대 「묵포도도」를 그린 화가. 선비화가.
이칭
시망(時望)
영곡(影谷), 비목당(卑牧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33년(중종 28)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창원(昌原)
주요 관직
경력(經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묵포도도」를 그린 화가. 선비화가.
내용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시망(時望), 호는 영곡(影谷)·비목당(卑牧堂). 군수 인(璘)의 아들이다. 1576년(선조 9)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벼슬은 경력(經歷)을 지냈다.

묵포도(墨葡萄)를 특히 잘 그려 이정(李霆)의 묵죽(墨竹)과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와 함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다. 유존작품은 극히 희소한 편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폭의 「묵포도도」 1점이 남아 있을 뿐이다.

한 송이의 포도와 거기에서 파생된 두 줄기를 X자형으로 포치한 이 그림은 농도를 달리하는 여러 먹색을 서로 대비시킴으로써 변화감을 자아낸다. 이러한 기법은 단순하면서도 대담한 구도와 소재처리방식과 더불어 그의 뛰어난 격조와 기량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화법은 같은 시대의 이우(李瑀)·이계호(李繼祜)·홍수주(洪壽疇) 등에게 얼마간의 차이를 드러내며 이어져 조선 중기 묵포도 전통의 근간을 이루었다.

참고문헌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안휘준, 일지사, 1980)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조선시대묵포도고(朝鮮時代墨葡萄考)」(이원룡, 『동아사의 비교연구』, 일조각, 198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