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정 ()

목차
관련 정보
설봉대사비
설봉대사비
불교
인물
조선후기 전라남도 영암 출신으로 문신(文信)의 법을 이은 후 경전의 연구와 논리적 분석과 증명에 능했던 승려.
이칭
윤중(允中)
설봉(雪峰)
이칭
선림종주(禪林宗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8년(숙종 4)
사망 연도
1738년(영조 14) 6월 8일
출생지
전라남도 영암
목차
정의
조선후기 전라남도 영암 출신으로 문신(文信)의 법을 이은 후 경전의 연구와 논리적 분석과 증명에 능했던 승려.
내용

성은 조씨(曺氏). 자는 윤중(允中), 호는 설봉(雪峰). 전라남도 영암 출신. 어머니 김씨는 살생을 싫어하고 다른 사람이나 자기나 차별을 두지 않는 인자한 성품이었다. 신인(神人)이 나타나 명주(明珠) 한 개를 주는 태몽이 있었다.

9세 때 달마산(達磨山) 희명장로(熙明長老)의 권유로 입산하였고, 16세에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그 뒤 문신(文信)에게 경론(經論)을 배우고 그 법(法)을 이었다. 여러 경전을 연구하여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증명하는 것이 능하여 남방의 모든 승려들은 그를 선림종주(禪林宗主)라고 불렀다.

평소의 생활 가운데서도 허례허식을 배제하여 입고 있는 장삼이 남루하게 떨어져도 깁지 않았으며, 머리를 깎지 않아 더벅머리가 되기도 하였다. 검소하고 청빈하기 이를 데 없어 누더기옷과 밥그릇이 소지물의 전부였다고 한다. 만년에는 해도(海島)에 들어가 야은(野隱)이라는 초암(草庵)을 짓고 홀로 살았다.

“뜬 구름 오는 곳 없고 가는 곳 또한 자취가 없네. 고요히 바라보니 구름만 오고가고, 이제는 다만 한 허공뿐일세.”라는 임종게를 남기고 6월 8일 입적하였다. 법을 이은 제자로 각훤(覺喧) 등 16명이 있다. 다비하여 사리 1과와 영주(靈珠) 1매를 얻어 미황사(美黃寺)에 탑을 세웠다. 김진상(金鎭商)이 찬(撰)한 비가 있다.

참고문헌

『동사열전(東師列傳)』
『대둔사지(大芚寺誌)』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