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인본(印本). 표제(表題)에는 ‘熙朝軼事雲崗書屋(희조일사운강서옥)’이라 적혀 있다.
학문과 행의(行誼) 및 효우(孝友) · 충의(忠義) · 문학(文學) · 서화(書畫) · 명예 · 절조(節操) · 금기(琴碁 : 거문고와 바둑) 및 탁절여행(卓節女行)에 이르기까지 후세에 전할만한 사실 중, 역사의 기록에서 빠진 것을 널리 수집해 엮은 약전(略傳)의 성격을 띤 유서(類書)이다.
권두에는 1866년 예조판서 남병길(南秉吉)이 쓴 서문과 목록, 편자가 편람 · 인용한 31종의 서목(書目)과 작자명이 기재되었다.
상권에는 한순계(韓舜繼)를 비롯한 39인으로 유희경(劉希慶) · 정윤(鄭潤) · 김창국(金昌國) · 박태성(朴泰星) · 홍차기(洪次奇) · 김중진(金重鎭) · 김익춘(金益春) · 윤명상(尹明相) · 송규휘(宋奎輝) · 백대붕(白大鵬) · 문기방(文紀房) · 정육동(鄭六同) · 김충렬(金忠烈) · 박의(朴義) · 김우석(金禹錫) · 이형익(李亨翼) · 오효성(吳孝誠) · 강효원(姜孝元) · 전만거(田滿車) · 이진화(李震華) · 안용복(安龍福) · 최로(崔老) · 홍세태(洪世泰) · 고두표(高斗杓) · 안광수(安光洙) · 임준원(林俊元) · 이득원(李得元) · 고시언(高時彦) · 김만최(金萬最) · 정내교(鄭來僑) · 정후교(鄭後僑) · 백윤구(白胤耉) · 한이형(韓以亨) · 이몽리(李夢鯉) · 최천익(崔天翼) · 박영석(朴永錫) · 이최준(李最濬) · 김영(金泳) 등 일사(逸士) · 효자 · 처사(處士)들의 기사가 실려 있다.
하권에는 석희박(石希璞)을 비롯한 45인으로 이언진(李彦瑱) · 이단전(李亶佃) · 천수경(千壽慶) · 김낙서(金洛瑞) · 장혼(張混) · 왕태(王太) · 조수삼(趙秀三) · 정민수(鄭民秀) · 박윤묵(朴允默) · 이지화(李至和) · 김홍원(金弘遠) · 정지윤(鄭芝潤) · 이수장(李壽長) · 엄한붕(嚴漢朋) · 조광진(曺匡振) · 김명국(金鳴國) · 진재해(秦再奚) · 김홍도(金弘道) · 최북(崔北) · 임희지(林熙之) · 전기(田琦) · 백광현(白光炫) · 조광일(趙光一) · 이익성(李益成) · 유찬홍(庾纘洪) · 김진귀(金鎭貴) · 김성기(金聖基) · 유운태(劉雲台) · 조생(曺生) · 염시도(廉時道) · 김수팽(金壽彭) · 유세통(庾世通) · 신두병(申斗柄) · 문금생원(文金生員) · 오효부(吳孝婦) · 취매(翠梅) · 안협효부(安峽孝婦) · 김가모(金家母) · 고절부(高節婦) · 엄열부(嚴烈婦) · 하절부(河節婦) · 이효녀(李孝女) · 연홍(蓮紅) · 영동의부(嶺東義婦) 등의 문학 · 서예화가 · 의복(醫卜) · 효부(孝婦) · 절부(節婦)들의 기사가 실려 있다.
끝에는 1866년 윤정현(尹定鉉)이 쓴 발문이 있다. 당시 풍속교화에 크게 이바지했을만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