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규 ()

근대사
인물
해방 이후 『강화학 최후의 광경』, 『사천강단』, 『예루살렘 입성기』 등을 저술한 학자. 역사학자.
이칭
이칭
서여(西餘)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5년
사망 연도
2005년
출생지
전라남도 해남
정의
해방 이후 『강화학 최후의 광경』, 『사천강단』, 『예루살렘 입성기』 등을 저술한 학자. 역사학자.
개설

한국사·불교사·양명학·서지학 분야에 두루 밝은 국학계의 거목이었다. 전라남도 해남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39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와 1942년 다이쇼대학[大正大學] 사학과를 졸업했다. 1945년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되었으며, 1954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燕京]연구소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1963∼64년 유네스코와 하버드대학교 후원으로 중국의 윤돈(倫敦)과 파려(巴黎)에서 둔황[敦煌] 석실문서(石室文書)를 조사했다. 1966년 동국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1993년 연세대학교에서 명예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도서관 관장, 『연희춘추』 초대 편집인, 문과대학 학장, 동방학연구소 소장과 그 후신인 국학연구원 원장을 지내다가 1980년 정년퇴임 후 명예교수로 있었다. 1999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한국 불교사와 양명학에 업적을 쌓은 역사학자로서, 학계에서 널리 쓰이는 '강화학(파)'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이 용어는 연희전문을 다닐 때 위당 정인보를 만나 양명학의 적통을 이어받은 그가 조선 양명학의 본거지가 강화도였다는 데 착안해 명명한 것이다.

한국 양명학의 명맥을 밝힌 『강화학 최후의 광경』, 불교 선종사(禪宗史)를 비판한 『사천강단』, 예수의 생애를 재해석한 『예루살렘 입성기』 등 세 권의 저서를 남겼다. 각각 유교, 불교, 기독교의 뿌리를 비판한 책이다. 그의 강화학 연구는 이념보다 실질을 존중하는 양명학의 정신을 학문 전반으로 확장시키려는 시도였다. 일연선사의 인각사 비문을 고증하는 과정에서 일본에 전해지는 『중편조동오위(重編曹洞五位)』가 일연의 저서임을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한편 서지학에 관심을 두고 문헌정보학을 발전시키는 데도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5년 장지연상, 1999년 용재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강화학 최후의 광경』, (민영규, 우반, 1994)
『사천강단: 서여문재 기이』, (민영규, 우반, 1994)
『예루살렘 입성기』(민영규,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