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한선린통어 ()

일한선린통어
일한선린통어
언어·문자
문헌
1880년 호세코 시게가스가 일본인의 한국어 학습을 위하여 간행한 교재. 한국어학습서.
이칭
이칭
선린통어
정의
1880년 호세코 시게가스가 일본인의 한국어 학습을 위하여 간행한 교재. 한국어학습서.
개설

저자의 별저(別著)인『한어입문(韓語入門)』과 자매편을 이루며, 한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실제 현실 상황에서 응용해 볼 수 있도록 실용성이 고려된 학습서이다.

편찬/발간 경위

저자 호세코 시게가스는 무엇보다 1881년(명치 14)에 낸 『교린수지(交隣須知)』와 1882년(명치 15)에 낸 『인어대방(隣語大方)』의 인쇄자이자, 1883년(명치 16)에 낸 『교린수지(交隣須知)』의 산정자(刪正者)로서 우리에게 알려진 인물이다. 하지만 그의 생몰년은 알 수 없으며, 다만 그가 일본 야마구치 현에서 태어났고, 일찍이 부산에 건너와 한국어를 배웠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그의 한국어 능력은 탁월했으며, 그로 인해 외무성에 고용되어 당시 부산으로 옮겨온 조선어학소의 한국어 학습서 인쇄에 직접 관여했다.

호세코 시게가스는 조선어학소 교수로 근무하던 우라세 히로시[浦瀨裕]를 도와 근대 이래의 한국어 학습서의 대표격이었던 『교린수지』와 『인어대방』을 정리하여 간행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으나, 1883년(명치 16)에 이르러서는 이와 결별하고 동일명의 독자적인 학습서를 제작하였다.

기존의 한국어 학습서에 대해 나름대로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어입문』을 비롯한 『선린통어(善隣通語)』라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회화용 한국어 학습서가 저술되었던 것이다.

서지적 사항

활자본. 표제는 『일한선린통어(日韓善隣通語)』이다. 상·하 2권 2책. 상권은 제서(題書) 2장, 서(序) 2장, 서언 1장, 범례 2장, 목차 4장 및 본문 29장을 합하여 40장이며, 하권은 본문 29장, 발문 2장, 정오(正誤) 1장 및 판권지 1장으로 도합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한어입문』이 문법과 기본 어휘에 중점을 둔 한국어 학습의 입문서라면 『선린통어』는 언어 운용의 실용적인 면에 보다 중점을 둔 회화용 학습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의 서문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일간의 무역업에 종사하는 일본인을 위하여 만들어진 실용학습서이다.

이 책은 2편 21장(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권에는 1편 17장(章)까지가 수록되어 있으며, 하권에 1편 4(章)장이 수록되어 있다. 먼저 상권에서는 한국어의 발음과 기본적인 문법 및 어형을 기술하였다. 하권에서는 주로 한국어 회화에 있어서 경어체와 반말체를 구분하여 해설하였다.

한국어의 발음에 대해서는 『한어입문』과 마찬가지로 99음도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자음동화 현상을 기술하는 등 비교적 발음의 실용적인 측면을 배려하고 있다. 특히 이 책에서는 범례와 같이 한국어 문장에 일본어 대역과 발음을 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한어입문』에서는 볼 수 없었던 면이라서 흥미롭다. 또 기본 어휘에 있어서도 「연월일수(年月日數)」, 「상어문답(商語問答)」등의 항목을 마련하고 있는 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실용적인 측면, 특히 상업활동에 필요한 회화용어를 중시하고 있다.

한편 이 책은 문답형식을 취하면서 한국어에 대한 필요한 설명을 부여하고 있다. 이 같은 형식은 『한어입문』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다. 이 점도 이 책의 실용적인 측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 이 책에는 방언에 대한 기술과 경어에 대한 기술도 보인다. 이런 기술은 종래의 한국어 학습서에서는 볼 수 없었던 한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선린통어』는 『한어입문』과 함께 에도(江戶)시대에 사용되어 온 『교린수지』를 부분적으로 계승함과 동시에 발전적인 전환을 꾀한 것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의 음운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 소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 근대 일본에 있어서 각 지역의 방언 조사가 본격화된 것은 1902년에 국어조사위원회가 설치된 이후의 일이다. 1880년의 시점에 만들어진 『선린통어』에 한국과 일본 양국의 방언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이 책의 근대성을 엿볼 수 있게 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언어문학 54』(한국언어문학회, 2005)
『일본어문학 23』(한국일본어문학회, 2004)
『일본학보 67』(한국일본학회, 2006)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