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능력시험 ()

언어·문자
제도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을 인증하는 시험.
이칭
이칭
TOPIK
정의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을 인증하는 시험.
개설

영어 명칭의 첫 자를 따서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으로 불리기도 하는 한국어능력시험은 1997년부터 시행되어 현재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주관하고 있다. 시험은 수준별로 구성되어 TOPIK Ⅰ과 TOPIK Ⅱ로 나누어져 있다.

내용

한국어능력시험은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의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한국어 보급을 확대하며,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유학 및 취업에 활용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응시 대상은 국어 학습자 및 국내 대학 유학 희망자, 국내 대학 유학 희망자, 국내외 한국 기업체 취업 희망자, 외국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재외국민 등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동포 및 외국인이다.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은 1~6급까지 6개 등급이고, 획득한 종합점수를 기준으로 판정된다. TOPIK Ⅰ(1~2급)은 초급, TOPIK Ⅱ(3~6급)는 중·고급 수준이다. 시험문제는 TOPIK Ⅰ의 경우 듣기와 읽기로 이루어져 있고, TOPIK Ⅱ의 경우는 듣기, 쓰기, 읽기로 나누어져 있다. 문제 유형은 사지선다형의 객관식 문항과 단답형으로 답하는 문장완성형, 그리고 작문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험시간은 TOPIK Ⅰ이 1교시(듣기, 읽기) 100분, TOPIK Ⅱ가 1교시(듣기, 쓰기) 110분, 2교시(읽기) 70분이다.

변천과 현황

한국어능력시험은 1997년에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주관으로 처음 실시된 후 1999년 3회부터 20회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주관했다. 시행 초기에 KPT(Korean Proficiency Test)이던 본 시험의 영어 명칭이 2005년부터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으로 바뀌었다. 2011년 사업 주관기관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한국어능력시험의 실시는 한국어교육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별 평가 범주 및 평가 내용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학습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한국어 교육기관들도 이 기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개발해 한국어 교육과정이 표준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세미나』(한국교육과정평가원 편, 2009)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유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해영 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한국어능력평가 체제의 현황과 과제」(조항록, 『한국어교육』17-1, 2006)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방안 연구(I)」(김정숙 외, 『한국어교육』16-1, 2005)
TOPIK 한국어능력시험(www.topik.go.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