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양태

공예
개념
갓의 차양 부분을 500가닥의 살로 엮은 최상품의 갓양태.
정의
갓의 차양 부분을 500가닥의 살로 엮은 최상품의 갓양태.
개설

2002년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분양태는 ‘고운 양태’에서 유래된 말로 보이는데, 양태[涼太, 涼台]는 갓모자와 함께 갓을 구성하는 것으로, 햇빛 등에서 얼굴을 가려주는 차양 구실을 하는 부분이다. 갓양태를 만드는 재료는 대[竹]로, 특히 제주도는 갓양태의 재료인 대의 명산지이기도 하다. 제주 여인의 갓양태 제작은 1664년(현종 5) 조정에 보고될 정도로 유명하였으며, 제주민요에도 여성들의 양태 뜨는 일이 매우 일반적인 부업이었음을 노래하고 있다. 1967년 조사보고서에도 현재 제주시의 삼양동을 중심으로 갓양태가 제작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내용

갓양태를 만드는 과정을 보면, 먼저 4~5년 자란 솜대를 40~50㎝ 정도 잘라 마디를 없앤 후, 6㎝ 정도의 폭으로 잘라 쪼개어 5시간 정도 푹 삶아 말린다. 가죽으로 된 무릎장 위에 말린 대오리를 놓고 칼로 긁어 종이처럼 얇게 만든 다음 섬유 올처럼 가늘게 쪼갠다. 이렇게 대오리를 만든 다음 먼저 날대인 살(사죽)을 실로 엮는다. 살은 긴 실오리를 입에 물고 다른 한 가닥은 왼손 셋째손가락과 넷째손가락 사이에 끼워 새끼 꼬듯이 엮어나간다. 살을 다 엮으면 양태판이에 이를 고정하여 대오리를 나선형으로 꼬는 ‘갓양태겯기’를 한다. 겯기가 끝나면 양태판이를 뒤집어 일차로 결어 놓은 것을 알맞게 얹어 빗대를 40㎝ 길이의 대오리인 ‘머럭’을 빗대에 꽂아가며 단단하게 갓양태를 결어 완성시킨다. 갓양태의 살 수는 빗대와 같으며, 질이 낮은 것은 300가닥으로 ‘재량’이라고 하고, 최고급품은 살수가 500가닥으로 ‘고분양태’라 한다.

현황

고분양태의 무형문화재 지정 당시 기능보유자로 강경생(1910~2001)이 지정되었으나 송옥수를 거쳐 현재는 고양진이 뒤를 잇고 있다.

의의와 평가

갓양태를 만드는 일은 전통적인 관모공예의 복원이라는 면에서 그 의의가 크며, 특히 조선시대부터 제주 여성들의 일반적인 부업으로 되어 온 고분양태가 제주에서 현재도 제작되고 있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제주의 민속 -생업기술ㆍ공예기술-』(제주도, 1994)
『조선민요연구』(고정옥, 수선사, 1949)
「제주도민의 민간공예」(『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34호, 196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