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조본 현양성교론 권3 ( )

목차
관련 정보
초조본현양성교론권3
초조본현양성교론권3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전기 『현양성교론』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논서 · 번역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3(初雕本 顯揚聖敎論 卷三)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대장도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2년 10월 19일 지정)
소재지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전기 『현양성교론』의 한역본을 현종 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논서 · 번역서.
개설

북인도의 무착(無着)이 저술하고 당나라 승려인 현장(玄奘)이 한역한 『현양성교론』 20권 가운데 제3권이다. ‘성교(聖敎)를 현양하기 위한 논서(論書)’라는 뜻으로 법상종의 가장 중요한 책인 『유가사지론』을 널리 펼치기 위해 저술한 것인데, 모든 존재는 의식에 의하여 생긴 것이고, 이 이치를 바로 알고 닦아야 부처가 된다는 의미이다. 이 판본은 고려 현종 때 부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자 만든 초조대장경 판본 가운데 하나로, 2002년 10월 19일 보물로 지정되어,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이 판본은 1축으로 되어 있으며,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비교할 때, 판식은 동일하나 판수제이고, 책의 장수 표시가 ‘장(丈)’으로 되어 있어 판미제(板尾題)에 책의 장수 표시가 ‘장(張)’으로 되어 있는 해인사본과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책 끝에 있는 간행기록이 초조본에는 없는데 해인사본에는 있으며, 초조본에는 누락된 것과 오자 및 한 획이 탈락되어 있는 글자가 보이고 있는데, 해인사본은 바로잡아 놓았다.

의의와 평가

이 판본은 보존 및 인쇄상태가 뛰어나 서지학 및 불교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전적-』(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6)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상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