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악 ()

무용
인물
국가무형문화재 진주검무 예능보유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진주교방굿거리춤 예능보유자. 전통무용가.
이칭
이칭
김순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26년
사망 연도
2009년
출생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읍
정의
국가무형문화재 진주검무 예능보유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진주교방굿거리춤 예능보유자. 전통무용가.
개설

호는 춘당(春堂). 본명은 순녀(順女).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읍 출생.

생애와 활동사항

아버지 김종옥은 국악애호가에 한량이었고, 작은 아버지 김종기는 진주권번의 가야금 선생이었다. 9세에 진주권번에 들어가 김옥민에게 춤을 배우기 시작하여, 김해 김녹주에게 소고춤을, 전라도 전두영에게 구음을, 정정렬, 유성준, 이선유에게 판소리를, 이순근, 김종기에게 기악을, 최완자(崔完子, 1884∼1969)에게 입춤, 굿거리, 검무를 배웠고, 일제강점기 후반의 진주권번과 교방예술을 보았다.

광복 전까지 활동을 하다가 결혼 후 중단하였으나, 1946년 논개비 건립 모금을 위한 창극 「대춘향전」에서 다시 무대에 섰고, 1949년 1회 진주개천예술제에 출연하였다. 1964년 무형문화재제도가 시작되며 이윤례, 이음전, 최예분, 강귀례 등과 함께 1967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진주검무」의 예능보유자가 되었다. 1969년 목포 유달국악원, 1971년 광주 호남국악원에서 가르쳤고, 1973년에 진주민속예술원을 설립했다. 경상대학교, 진주시립국악원, 진주교대 등에서도 가르쳤다.

1983년 한국명무전에서 「진주교방굿거리춤」을 추었는데, 최완자와 김녹주에게 배운 춤을 김수악이 재구성한 춤이다. 「진주교방굿거리춤」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로 1997년에 지정되었다. 개천예술제에서 매년 추었던 「논개살풀이춤」도 교방춤에 남해안별신굿의 춤가락을 결합한 작품이다. 김수악의 구음은 ‘헛간의 도리깨도 춤을 추게 한다’고 할 정도로 구성지고 예술성이 높다고 평가받았다.

상훈과 추모

1995년 34회 경상남도 문화상, 1985년 진주시문화상, 1981년 대한민국사회교육문화상 금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 1주기 추모공연(국립국악원 예악당)이 열렸다.

참고문헌

『노름마치』(진옥섭, 생각의 나무, 2007)
『김수악』(이숙희,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시리즈 3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5)
집필자
김영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