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정신총동원운동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사건
1930년대 말 일제가 조선민중의 내선일체 · 황국신민화를 달성하고, 이를 토대로 전쟁수행에 필요한 인적 · 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전개한 운동.
정의
1930년대 말 일제가 조선민중의 내선일체 · 황국신민화를 달성하고, 이를 토대로 전쟁수행에 필요한 인적 · 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전개한 운동.
개설

일제는 주1을 국가총력전으로 강행하면서 국내외 반전의식과 투쟁 가능성을 차단하고 본격적으로 조선민중의 정신과 사상을 통제하고 전시동원정책을 추진하려고 했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은 이 같은 정책의 중심으로서 기존 관제 동원정책이던 주2심전(心田)개발운동을 흡수하여 전개되었다.

경과

일제는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국민정신총동원운동(1938.7.7∼1940.10.16)을 주도하는 전국적인 관변단체로서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을 설치했다. 그리하여 총독→조선연맹→도연맹 이하 부락연맹→애국반→개인으로 이어지는 통제망을 가동시켜 내선일체와 효과적인 전쟁 수행을 꾀하였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은 조선민중의 내면세계를 일본정신〔천황중심주의〕으로 개조하여, 이에 기초한 일본어 상용화, 창씨개명, 신사참배, 황민화교육, 지원병제도 등 일련의 주3을 보편화시켰고, 식량대책과 군수생산 등 전시동원의 한 축을 담당했다. 또한 이를 위한 기초적 훈련으로 황국신민의 서사 제창, 주4 등의 간단한 의식과 실행 사항을 매일 아침 혹은 작업 전후, 매달 애국일 그리고 경제전강조주간 등과 같은 시국 행사에 삽입했다. 이로써 조선민중의 일상생활 전반을 통제하면서 전시 동원 체제를 확립해 나갔다.

의의와 평가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은 1930년대 말 황국신민화 정책을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조선민중의 정신과 사상을 일본정신과 일본적 정서로 전환시키려는 공작은 용이하지 않았다. 이 시기 조선민중들이 부분적으로 체제에 편입되거나 거부하는 행동양식의 저변에는 고단하고 암담한 식민지 현실에 대한 무력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런 현실 속에서도 일제의 폭력성과 그 심각성을 읽고 패망의 필연성을 확신하던 민중들도 많았다.

참고문헌

『朝鮮總督府時局對策調査會諮問案參考書』(朝鮮總督府, 1938)
『總動員』1-2∼3(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 編, 1939.7∼8); 『總動員』 2-1(1940.1); 『總動員』 2-3∼4(1940.3∼4); 『總動員』 2-5∼10(1940.5∼10)
『朝鮮に於ける國民精神總動員』(朝鮮總督府, 1940.3)
『일제시대 농촌통제정책 연구』(김영희, 경인문화사, 2003)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실시와 조직」(김영희, 『한국독립운동사연구』18,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2)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전개 형태와 그 침투」(김영희, 『한국근현대사연구』 22, 한국근현대사학회, 2002)
주석
주1

1937년 루거우차오(盧溝橋) 사건에서 비롯되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전쟁. 일본이 중국 본토를 정복하려고 일으켰는데 1945년에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우리말샘

주2

1932년에 조선 총독부가 수립ㆍ추진한 식민지 관제 운동. 경제 대공황으로 농촌 경제와 사회가 몰락하면서 식민 지배 체제가 위기를 맞게 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우리말샘

주3

일본 및 그 식민지에서 주민들에게 일본 천황에게 충성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은 교육 정책. 우리말샘

주4

일제 시대에 일본과 일본 식민지들의 주민들이 일본 천황이 있는 궁성 방향으로 고개를 숙여 절을 하던 예법. 우리말샘

집필자
김영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