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동산리 기와가마터 ( 기와가마터)

고대사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기와를 굽던 가마터.
이칭
이칭
경주동산리와요지, 동산리와요지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기와를 굽던 가마터.
내용

국립경주박물관과 경주대학교박물관의 지표조사을 통해 알려진 통일신라시대의 기와가마터로서 Ⅰ∼Ⅲ의 3개 지구로 구분된다.

동산리 기와가마터Ⅰ은 동산리 서방나무골 북쪽 구릉부와 하단부의 경작지에 위치한다. 논바닥부터 산중턱에 위치한 고분군까지 기와조각과 토기조각이 다량 채집되었다. 도로를 중심으로 서쪽 능선 하단부와 논에 토기 및 기와가마터가 넓게 분포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구릉 절개면과 논둑에서 수막새조각, 암키와조각, 굽다리접시[高杯]조각, 도장무늬토기[印花文土器]조각, 큰항아리[大壺]조각, 긴목항아리[長頸壺]조각 등이 채집되었다.

동산리 기와가마터Ⅱ는 동산리에서 모아1리 황등골로 넘어가는 도로 옆 모주골 남쪽 구릉부에 있다. 동산리 기와가마터Ⅰ에서 도로 건너편 경작지와 구릉 하단부에 남북방향으로 길게 분포하고 있다. 논과 사면부가 접하는 지점에서 유물이 다량 채집되는데, 원래 기와가마터가 10여 기 이상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논둑과 바닥에서 암키와조각, 굽다리접시조각, 도장무늬토기조각 등이 확인되었다.

동산리 기와가마터Ⅲ은 동산1리에서 모아1리 황등골로 넘어가는 도로 옆 절골과 남쪽 구릉부에 위치한다. 구릉 사면부와 하단부의 논에서 토기조각과 기와조각, 슬래그조각 등이 다량 확인되었다.

의의와 평가

동산리 기와가마터Ⅰ·Ⅱ·Ⅲ은 채집된 토기와 기와 등을 통해서 볼 때, 통일신라 왕경(王京)에 토기 및 기와를 공급했던 비교적 큰 규모의 공방(工房)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유적분포지도: 경주시 유적개요』(국립경주박물관·경주시, 2008)
『경주유적지도』(국립경주박물관, 1997)
집필자
배덕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