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방울 (방울)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선사문화
유물
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
이칭
이칭
청동령(靑銅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여러 개의 방울이 달려 흔들어 소리를 내게 하는 청동기.
개설

청동기시대 말기∼초기 철기시대에 제사장 혹은 군장이 종교의례에 사용하였던 무구(巫具)로서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 간두령(竿頭鈴) 등이 있다.

내용

팔주령은 1쌍으로 직경 12㎝ 내외이다. 8개의 공 모양 방울이 한 가운데가 우묵한 몸체 주위로 돌아가며 부착한 것이다. 한 가운데 몸체에는 태양을 연상시키는 방사상 무늬, 방울에는 나선형의 무늬가 장식된 것이 특징이다.

간두령은 1쌍으로 15㎝ 내외의 포탄 모양으로 위쪽으로 방울 부분이 있고 네 개의 길쭉한 구멍이 있다. 자루를 꽂는 원통형의 하단 주머니 부분에 둥근 칼코 모양의 돌기가 있다.

조합식쌍두령은 20㎝ 길이의 단면 원형인 긴 막대기를 ‘ㄱ’자 모양으로 구부려 ‘×’자 모양으로 교차하여 한쪽 끝에 공 모양 방울을 부착한 것이다.

쌍두령 1쌍은 18㎝ 내외로 단면이 네모난 길쭉한 몸체의 양 끝에 공 모양의 방울이 하나씩 달려 있는 형식이다. 약간 불룩한 몸체의 중간 부분에 장방형의 구멍을 만들어 다른 물체를 끼울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청동방울 4종이 세트를 이루며 발견된 전(傳) 논산, 덕산, 상주의 출토 사례가 있다. 발굴조사된 것으로 함평 초포리, 화순 대곡리 목관묘유적의 사례가 있는데, 이들 사례는 서기전 2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서기전 1세기경으로 내려오면 포탄형 청동방울이 1쌍만 무덤에 부장되는데, 대구 신천동, 경주 죽동리의 사례가 있다.

의의와 평가

청동방울은 다뉴세문경(多紐細文鏡)을 포함하여 주로 최고 우두머리급 무덤의 부장유물로 발견된다. 따라서 그 당시 군장이 제사장적 성격도 겸하였음을 이 유물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들 청동방울은 그 추정연대로 보아 『삼국지(三國志)』 위지 동이전(魏志 東夷傳)에 기록된 삼한 소국들이 형성될 때, 그 군장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한빛문화재연구총서 4-(미야자토 오사무, 2010)
『세형동검문화연구』(조진선, 학연문화사, 2005)
『한국의 청동기문화』(국립중앙박물관, 범우사, 1992)
『함평초포리유적』(이건무·서성훈, 국립광주박물관, 1988)
『한국청동기문화연구』(윤무병, 예경산업사, 1987)
「동령구」(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