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요문화재. 도쿄[東京]국립박물관 소장 정문경(精文鏡)은 복잡한 기하학 무늬를 거울 뒷면에 정교하게 표현한 거울이다. 손잡이가 여러 개 달려 있어 다뉴세문경(多鈕細文鏡)이라고도 한다.
일본인 오구라[小倉武之助]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서 수집해 간 한국문화재의 하나로 일본에서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바 있다. 거울의 지름은 14.3㎝로 손잡이가 2개이며, 경상남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거울 뒷면은 원형의 선을 둘러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였는데 안쪽에는 가로 5줄, 세로 16줄의 선을 교차시켜 여러 개의 사각형을 만든 후, 그 안을 삼각형의 집선문(集線文)으로 세밀하게 새겨 장식하였다. 그 위로 두 개의 손잡이가 약간 위쪽에 배치되었다. 거울의 기본 무늬인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은 다른 청동기에서도 볼 수 있는 공통적인 문양이다. 빛이 발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반사 기능과 함께 의식용 도구로서 옷에 매달아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거울은 청동기시대 최전성기에 만든 정문경보다 무늬 및 주조 상태가 약간 거친 편이나 여전히 정교한 제작 기법을 보여 준다.
다뉴경(多鈕鏡)의 형태는 원래 기원전 1000년경, 요하(遼河) 서쪽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었는데 무늬가 거칠고 정교하지 못한 거친무늬거울 즉 조문경(粗文鏡)이 정문경보다 먼저 제작되었다. 중국 동북 지방과 한반도의 여러 지역 즉 길림, 연해주, 대동강 유역, 아산만- 금강 유역을 중심으로 여러 유형의 조문경이 제작되었다. 이후 청동기 후기인 기원전 3~2세기로 넘어와 정문경이 한반도의 고유한 양식으로 정교하게 발전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대동강 유역, 금강,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견되며 일본 열도에까지 전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