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 동검 ( )

선사문화
개념
초기 철기시대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했던 조립식 구조의 청동단검.
이칭
이칭
세형동검, 한국식세형동검, 요령식세형동검, 단경식동검, 좁은놋단검
내용 요약

한국식동검은 초기 철기시대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했던 조립식 구조의 청동단검이다. 검신 하단부가 각이 지며, 등대 마디와 칼허리를 지닌 모양을 띤다. 넓은 범위로는 불완전한 초기 단계의 동검들과 쇠퇴 단계의 직인화된 동검까지 포함된다. 서기전 4~1세기경에 주로 유행하였으나, 남한 지역에는 서기 2세기경까지 잔존한다. 한국식동검은 요령식동검을 계승하면서도 중원식동검과 북방식동검의 일체형 구조와 구별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한반도가 독자적인 문화권을 이루면서 발전하였음을 잘 보여준다.

목차
정의
초기 철기시대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했던 조립식 구조의 청동단검.
개설

한국 청동기 문화권의 동검들은 청동제의 검신(劍身)과 목제 또는 청동제의 검병(劍柄) 및 주1이 서로 조립되는 구조의 청동단검이다. 서기전 4세기경을 전후하여 그 이전 시기에는 ‘요령식동검(遼寜式銅劍)’ 혹은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으로 불려지는 곡인형 동검이 사용되었으며, 그 이후 시기에는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또는 ‘세형동검(細形銅劍)’으로 불려지는 직인형 동검이 사용되었다. 또한 이 두 동검 양식을 포괄할 때 주2동검(短莖式銅劍)’이라는 말도 사용되고 있다.

먼저 한국식동검은 좁은 의미로는 검신 하단부[基部]가 각이 지며, 등대 마디[脊節]와 칼허리[抉入部]를 지닌 것에 한정된다. 다만 넓은 의미로는 불완전한 초기 단계의 동검들과 쇠퇴 단계의 직인화된 동검까지 포함된다. 넓은 의미의 세형동검들이 한반도는 물론 만주 · 연해주와 일본열도까지 널리 분포하는 것을 고려하여 ‘요령식’과 ‘한국식’의 여러 세형동검 양식이 설정되고 있다.

서북한 지역이 두 양식의 점이 지대라면, 동북한 지역과 그 이남 지역은 한국식 (세형)동검의 주된 분포 지역이다. 특히 한국식은 서기전 200년경 전후 일본 구주 지역으로 전해져서 중세형(中細形)-중광형(中廣形)의 변형 동검으로 바뀌기도 한다.

한국식동검의 크기는 보통 길이 20~30㎝ 내외, 너비 3~4㎝이다. 이른 시기에는 서남한 지역에서 주로 확인된다. 검신 하부가 약간 곡선적이면서 마디가 등대 중간에 자리하지지만, 점차 검신 하부가 직선적인 역제형을 이루면서 마디가 등대 중하위에 형성되며, 칼허리가 분명하게 구분되는 전형으로 발전한다.

늦은 시기에는 서북한 지역과 동남한 지역에서 주로 확인된다. 검신 하부가 장방형을 이루면서 마디가 등대 중하위는 물론 주3까지 형성되며, 칼허리도 퇴화되어 형식화된 것이 주로 사용된다.

한국식동검은 석제 거푸집[鎔范]을 한 쌍으로 결합하여 제작하였는데, 초기 단계 거푸집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발전 단계의 석제 거푸집이 영암, 완주 갈동, 용인 초부리 등의 유적에서 수습되었고, 쇠퇴 단계의 석제 거푸집이 평양 장천리 등의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석제 거푸집을 통해 한국식동검이 현지에서 직접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식동검의 검병은 기본적으로 ‘T’자형을 나타낸다. 다만 요령식동검의 일체화된 청동 검병은 확인되지 않는 대신 대개 목제 검병이 사용되며, 청동 검병이라 하더라도 부위별로 따로 제작된다거나 특정 부위만을 청동으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변화된다.

또한 검파두식은 검병 반부 뒤에 결박하는 석제 또는 청동제의 주4를 가리킨다. 청동기시대의 요령식동검이 주로 땅콩 모양[枕形]이나 꼭지 모양[獸乳形] 검파두식이 조합되었다면, 초기 철기시대의 한국식동검은 그보다는 입주부십자형(立柱附十字形) 또는 평형(平形) 검파두식이 조합된다.

원삼국시대에 들어오면 한 쌍의 물새를 형상화한 쌍조형(雙鳥形) 검파두식도 사용된다. 특히 입주상의 검파두식은 원래 한반도의 마제석검 사용 전통과 관련되는 것이어서 한국식동검의 제작 전통이 일원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의의 및 평가

한국식동검이 한반도에 출현하는 배경에는 여러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다. 과거에는 서기전 3세기 초 요동 지역의 요령식동검이 남하하여 서북한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인식하였으나, 최근에는 서기전 4세기경 이미 서북한 지역의 현지화된 요령식동검을 바탕으로 요서 계통 요령식동검의 영향까지 더해져서 서남한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이해하는 견해들이 많다.

또한 토착적인 마제석검 전통에서 비롯되는 검파두식이 주로 채택되는 것은 토착적인 무기 사용 전통까지 복합되었음을 보여준다.

한국식동검의 조립식 구조는 요령식동검을 계승하는 것이면서 중원식동검과 북방식동검의 일체형 구조와 구별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초기 철기시대 전후 한반도가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권을 이루면서 발전하였음을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논문

이후석, 「한국 청동기문화권의 청동무기, 그 기원과 전개」(『한국의 청동기문화 2020』, 국립청주박물관, 2020)
趙鎭先, 「細形銅劍 鎔範의 製作技術 - 주형의 설계 및 새김기법을 중심으로-」(『韓國考古學報』 60, 한국고고학회, 2006)
이건무, 「한국식 동검문화」(『韓國의 靑銅器文化』, 國立中央博物館 · 國立光州博物館, 1992)
李淸圭, 「細形銅劍의 型式分類 및 그 變遷에 對하여」(『韓國考古學報』13, 韓國考古學會, 1982)
주석
주1

석검이나 동검의 자루 끝에 청동(靑銅)이나 돌로 만들어 붙인 장식. 칼자루끝장식이라고도 함.

주2

자루 속에 들어박히는 부분을 짧게 만드는 형식. 슴베가 짧은 형식.

주3

칼, 괭이, 호미 따위의 자루 속에 들어박히는 뾰족하고 긴 부분.

주4

검파두식 동검의 주요 기능 요소로서 칼자루 끝에 무게를 더하는 장식.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