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천 남창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강원도 문천시 남창리에 있는 널무덤이 단독으로 분포하는 초기철기시대 분묘유적.
이칭
이칭
남창리 움무덤, 문천남창리고분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분묘유적
건립 시기
초기철기시대
관련 국가
위만조선
소재지
북한 강원도 문천시
내용 요약

문천남창리유적(文川南昌里遺蹟)은 북한 강원도 문천시 남창리에 있는 널무덤이 단독으로 분포하는 초기철기시대 분묘유적이다. 무덤은 단순 널무덤으로 추정되었고, 한국식의 세형동검과 세형동과가 각 1점씩 수습되었다. 세형동검 문화의 발전 단계 특징을 나타내는 청동 무기들로 보아 연대는 서기전 2세기 전반 전후 무렵으로 추정되며, 임둔 세력과 관련되는 문천 일대 지배층의 무덤으로 이해된다.

정의
북한 강원도 문천시 남창리에 있는 널무덤이 단독으로 분포하는 초기철기시대 분묘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도장산 북동쪽의 언덕 끝에 있는 재궁동(재궁골)에 자리한다. 이 지점은 동쪽으로 흐르는 남천강 남쪽 지류변에 해당한다. 1965년 봄에 과수원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청동 유물이 확인됨에 따라 알려졌다. 같은 해에 원산력사박물관이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무덤 구덩이가 있는 곳은 지표에서 약 40㎝ 깊이까지 적갈색 점토층이었고, 그곳에서 다시 약 20㎝ 깊이까지 황갈색 흙이 깔린 상태였다. 주1을 확인하고, 그 내부에서 청동 무기 2점을 수습하였다.

형태와 특징

유물 출토 지점 바닥에는 어떤 시설이나 나무질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단순 널무덤으로 추정되었고, 구덩이는 이미 파괴되어 구체적인 구조를 알 수 없었다. 정식 발굴 조사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것이어서 주2일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다.

수습 유물로는 한국식의 주3 1점과 주4 1점이 있다. 세형동검은 칼몸 아래쪽 부분이 평면 사다리꼴을 띠고, 등대 마디가 일자형에 가까워서 발전 단계의 특징을 나타낸다. 전체 길이는 28㎝, 너비 3.3㎝이다.

세형동과는 관부(關部)가 뚜렷하며, 투공부의 평면 형태가 원형에 가까워진 것이어서 역시 발전 단계 또는 철기 공반(公班) 단계의 특징을 나타낸다. 전체 길이 25㎝, 너비 7.4㎝이다.

연대는 동검과 동모가 모두 발전 단계에 주로 확인되는 형식학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서기전 2세기 전반 전후 무렵으로 추정된다. 다만, 북한 학계는 금야용산리유적, 북청하세동리유적 등의 청동 유물과 비교하여 서기전 3세기 말~서기전 2세기 초 무렵으로 보고 있다.

의의 및 평가

북한 강원도 문천시 일대는 주5 시기에 주6 세력의 분포권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이때 유행했던 세형동검 문화 양상으로 보면 상위 거점은 금야만 일대에 형성되었는데, 금야와 문천 일대가 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위만조선 멸망 이후 설치되었다는 임둔군의 화려현(華麗縣)과 야두매현(邪頭昧縣)이 각각 이곳으로 비정된다. 그러므로 문천남창리유적은 임둔 세력의 단위 정치체와 관련된 유적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논문

이후석, 「요동~북한지역의 세형동검문화와 고조선」(『동북아역사논총』 44, 동북아역사재단, 2014)
趙鎭先, 「北韓地域 細形銅劍文化의 發展과 性格」(『한국상고사학보』 47, 한국상고사학회, 2005)
원산력사박물관, 「문천군 남창리 움무덤」(『고고학자료집』 6,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3)
주석
주1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우리말샘

주2

나무 관을 고정하고 보강하기 위해서 주위를 돌로 쌓거나 채워 두는 무덤 형식.    우리말샘

주3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하나. 평양을 비롯하여 전국의 고인돌ㆍ돌무덤 따위 고분의 부장품(副葬品)으로서 남만주ㆍ연해주ㆍ시베리아ㆍ북중국에서도 발견되며, 한국식 동검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4

창날의 길이가 짧고 너비가 좁은, 놋쇠로 만든 창. 초기 철기 시대에 썼다.    우리말샘

주5

대동강 유역에 있었던 고조선의 마지막 나라. 기원전 194년에 위만이 준왕(準王)을 몰아내고 세운 나라인데, 기원전 108년 우거왕 때 한나라의 무제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6

중국 한(漢)나라가 위만 조선을 정벌하고 설치한 한사군의 하나. 그 위치에 대하여서는 함경도 부근이라는 설과 랴오둥(遼東)ㆍ랴오시(遼西) 지방이라는 설 등이 있는데, 고구려 광개토 대왕 때에 완전히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