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흥 이화동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함경남도 함흥시 이화동에 분포하는 초기 철기시대의 널무덤 유적.
이칭
이칭
이화동움무덤
유적
건립 시기
초기 철기시대
관련 국가
위만조선
소재지
함경남도 함흥시
내용 요약

함흥이화동유적(咸興梨花洞遺蹟)은 함경남도 함흥시 이화동에 분포하는 초기 철기시대의 널무덤 유적이다. 반룡산 남쪽 구릉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널무덤의 바닥에는 판석재의 돌조각이 깔려 있었는데, 유물 출토 양상으로 보아 나무널무덤일 가능성도 있다. 한국식의 청동 무기와 청동 의기는 물론 철기 등이 다수 출토되어 많은 유물들을 부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대는 서기전 2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며, 임둔이나 부조 세력과 관련되는 함흥 일대 수장급의 무덤으로 이해된다.

정의
함경남도 함흥시 이화동에 분포하는 초기 철기시대의 널무덤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반룡산의 남쪽으로 뻗어 내린 구릉 끝자락에 자리한다. 이 지점은 함흥평야가 널리 조망되는, 평지보다 약 10m 정도 높은 언덕이다.

1965년 7월 언덕 남쪽 끝의 흙을 파다 무덤구덩이를 발견하면서 함흥력사박물관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무덤구덩이 윤곽선의 밖은 적갈색의 점토층이었고, 그 안은 푸른색의 흙이었다. 주1을 확인하고, 그 내부에서 청동 유물과 철기, 토기 등의 유물 10여 점을 수습하였다.

형태와 특징

무덤구덩이는 평면 장방형이며, 주축 남북 방향이다. 규모는 남북 길이 약 220㎝, 동서 너비 약 70㎝, 깊이 약 147㎝이다. 무덤구덩이 벽은 거의 수직으로 굴착하였으며, 바닥에는 작은 널돌 조각들을 쭉 널어서 깔고 그 틈 사이에는 점토를 채워서 편평하게 고정시킨 것이 특징이다.

널무덤으로 추정되었으나 바닥에서 연한 회청색 점토면이 확인되고 부장 유물 배치 양상 등을 고려할 때, 나무널무덤일 가능성도 있다. 주2은 북쪽으로 추정된다.

부장 유물은 크게 세 곳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모두 11점이 확인되었다. 바닥 남서쪽에서는 주3 2점과 철광석제 칼자루끝장식 1점, 세형동모(細形銅鉾) 2점과 세형동과(細形銅戈) 1점이 출토되었고, 바닥 북서쪽에서는 주4 2점이 출토되었다. 또한 북동단에서는 주5 1점과 그 아래에서 주6 2개체분이 수습되었다.

세형동검 2점은 등대 마디와 칼허리가 분명하여 모두 ‘한국식’에 해당된다. 짧은 것은 칼허리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일자형의 마디가 있는 이른 형식이고, 긴 것은 기부(基部)까지 일자형의 등대 마디가 형성되어 있는 늦은 형식이다. 각각 길이 27.0㎝와 33.0㎝이다. 칼자루끝장식은 입주부십자형으로 돌기가 뚜렷하고, 입주부의 머리 끝이 작은 것이어서 발전 단계 또는 철기 공반 단계에 주로 확인되는 형식이다. 크기는 길이 6.2㎝, 너비 4.7㎝이다.

세형동모와 세형동과는 모두 '한국식'에 해당되며, 발전 단계 이후 확인되는 기종이다. 동모 2점은 형태와 크기가 비슷한데, 길이 22.0㎝, 너비 4.4㎝이다. 동과는 서북한 지역의 것과 비슷하게 창몸이 큰 것이 특징이며, 길이 27.0㎝이다.

다뉴세문경은 2점 모두 지름 8㎝의 소형이다. 꼭지가 3개이며, 삼각문을 단위로 한 내구와 외구의 2구식인 점이 특징이다. 남한 지역의 장수남양리 4호묘, 함평초포리고분군주7과 유사하여 주조 철기 공반 단계의 서기전 2세기 전반경으로 편년된다.

주조철부는 공부 단면이 장방형과 사다리꼴 중간 형태를 나타내는 점이 특징이다. 남아 있는 형태는 길이 9.6㎝, 투겁 너비 5.6㎝, 투겁 두께 2.0㎝이다. 무덤의 축조 시기는 출토 유물 중에 다뉴세문경이나 주조철부가 서기전 2세기 전반경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것이어서 이 무렵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동북한 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무덤에서 금속 유물을 10점이나 부장하는 예는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함흥이화동유적의 널무덤은 서기전 2세기경 함흥 일대 최고 수장급의 무덤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무기류와 의기류로 구성된 것을 통해 무덤 주인공은 군사적인 권위를 크게 내세우는 한편 종교적인 권위 역시 강조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함경남도 함흥 일대는 위만조선(衛滿朝鮮) 시기에 주8 세력의 영향권에 포괄되는 지역으로 추정되며, 위만조선 멸망 이후에는 부조현(夫租縣)이 설치되는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변에는 관련 유적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함흥 일대는 임둔이나 부여(옥저) 세력의 거점 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조선유적유물도감』 2(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1989)

논문

이후석, 「요동~북한지역의 세형동검문화와 고조선」(『동북아역사논총』 44, 동북아역사재단, 2014)
조진선, 「北韓地域 細形銅劍文化의 發展과 性格」(『한국상고사학보』 47, 한국상고사학회, 2005)
박진욱, 「함경남도일대의 고대유적 조사보고」(『고고학자료집』 4, 사회과학출판사, 1974)
주석
주1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우리말샘

주2

주검의 머리가 놓인 방향.    우리말샘

주3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하나. 평양을 비롯하여 전국의 고인돌ㆍ돌무덤 따위 고분의 부장품(副葬品)으로서 남만주ㆍ연해주ㆍ시베리아ㆍ북중국에서도 발견되며, 한국식 동검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4

초기 철기 시대의 유물인 청동 거울. 거울을 멜 때 사용하는 고리인 인꼭지가 두 개 있고, 뒷면에는 톱날 모양의 가는 복합선의 무늬가 있다. 전 시대의 거친 무늬에 비해 세밀하고 정교한 무늬를 새긴 것이 특징이다. 충청남도에서 출토되었고 현재 숭실대에 소장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정문경’이다.    우리말샘

주5

거푸집에 쇳물을 부어 떠 낸 도끼.    우리말샘

주6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지역에 따라 팽이형 토기, 미송리식 토기, 화분형 토기 따위가 있으며 빛깔은 붉은 갈색이다.    우리말샘

주7

나무 관을 고정하고 보강하기 위해서 주위를 돌로 쌓거나 채워 두는 무덤 형식.    우리말샘

주8

중국 한(漢)나라가 위만 조선을 정벌하고 설치한 한사군의 하나. 그 위치에 대하여서는 함경도 부근이라는 설과 랴오둥(遼東)ㆍ랴오시(遼西) 지방이라는 설 등이 있는데, 고구려 광개토 대왕 때에 완전히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