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입실리 유적 ( )

고대사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 입실리에 있는 원삼국시대 진한의 지배층 무덤유적.
이칭
이칭
월성입실리유적
유적
건립 시기
원삼국시대
관련 국가
진한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입실리
내용 요약

경주입실리유적은 경상북도 경주시 입실리에 있는 원삼국시대 진한의 지배층 무덤유적이다. 1920년 철도공사 과정에서 청동 유물이 다수 발견되어 알려졌다. 유물 수량으로 보아 가까이에 있는 여러 기의 목관묘에서 나온 것일 가능성이 높다. 무기류와 의기류, 마구류 등의 청동 유물들이 다수 보이지만, 철기와 토기도 소량 확인된다. 위만조선 또는 낙랑 계통 유물들이 포함되어 있어 서북한계 주민들에 의한 문화 전파 또는 진한 정치체의 문화 교류 양상을 잘 보여 준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입실리에 있는 원삼국시대 진한의 지배층 무덤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경주입실리유적(慶州入室里遺蹟)은 1920년 8월 경주~울산 간 철도 부설공사 과정에서 구리칼, 구리창 등의 청동 유물들이 한꺼번에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발견 장소는 동해남부선 역사(驛舍)의 북쪽 언덕 아래쪽이다. 일본학자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 등이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 기록이나 유물 수량 등을 고려할 때 유물들은 가까이에 있는 2~3개 지점에서 찾았을 가능성이 높다.

형태와 특징

무덤은 주1로 추정되나, 무덤 구덩이가 파괴되어 구체적인 구조와 출토 정황은 알 수가 없다. 출토 유물에는 청동기가 가장 많고, 철기와 토기도 소량 확인된다. 청동기에서는 무기류와 마구류가 주로 확인되며, 의기류도 소량 확인된다.

우메하라 스에지의 보고 자료에 따르면 무기류에서는 주2 6점, 구리창 4점, 구리꺾창 2점, 동병철검(銅柄鐵劍)의 청동검파(靑銅劍把) 1점 등이 확인되었고, 의기류에서는 주3 1점, 청동 주4 2점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마구류에는 대소형의 주5 7점, 동탁 부속 1점, 동환(銅環) 1점, 주6 1점, 청동 주7 1점, 청동 차축두령(車軸頭鈴) 1점, 병부동령(柄附銅鈴) 1점, 원형 장식 1점 등이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철기류에는 철검 조각과 주8 1점이 확인되었고, 토기류에서는 소형 용기 2점이 확인되었다.

유적 연대는 초기 철기시대에만 유행하는 다뉴세문경과 '함주조양리유적' 출토품과 비교되는 청동 간두령은 제작 시기가 서기전 2세기 대까지 올라가는 자료이다. 다만, 유문식의 구리창과 구리꺾창이 다수 확인되며, 유문식의 소형 동탁 5점은 고깔동기, 판상철부 등과 함께 그보다 늦은 시기에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유물들의 주9 시기는 서기전 1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의의 및 평가

유적에서 확인되는 유문식의 구리창과 구리꺾창은 물론 청동 거여구(車輿具)와 청동검파, 철검 등은 서북한 지역의 주10이나 주11 계통 무덤에서 먼저 확인되는 기종이다.

특히 유문식의 소형 동탁이나 고깔동기 등은 서기전 2세기 후반 이후 출현하는 전형적인 한식 유물이다. 또한 중세형의 대형 구리창은 일본보다 영남 지역에서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고, 일부 청동 무기에는 일본 규슈〔九州〕 지역으로 연결되는 구분 연마 흔적까지 확인된다.

그러므로 무덤 주인공은 위만조선 멸망 무렵 내려왔던 서북한계 주민이나 낙랑과의 교역을 주도했던 경주 일대 지배층의 일원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경주입실리유적'의 출토 유물에는 서북한 지역과 영남 지역 진한(辰韓) 정치체의 문화 교류 양상이 잘 반영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韓國의 靑銅器文化』(國立中央博物館 · 國立光州博物館, 1992)
梅原末治, 藤田亮第, 『朝鮮古文化鏡鑑』 1(養徳社, 1947)

논문

「경주 입실리 유적」(『한국의 청동기 자료 집성 Ⅲ』, 국립청주박물관, 2020)
허준양, 「구분마연 기술의 출현과 전개」(『영남고고학』 77, 영남고고학회, 2017)
이청규, 「영남지방 청동기문화의 전개」(『영남고고학』 21, 영남고고학회, 1997)
「南朝鮮に於げる漢代の遺蹟」(『大正十一年度古蹟調査報告』 2, 朝鮮總督府, 1922)
주석
주1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우리말샘

주2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하나. 평양을 비롯하여 전국의 고인돌ㆍ돌무덤 따위 고분의 부장품(副葬品)으로서 남만주ㆍ연해주ㆍ시베리아ㆍ북중국에서도 발견되며, 한국식 동검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3

초기 철기 시대의 유물인 청동 거울. 거울을 멜 때 사용하는 고리인 인꼭지가 두 개 있고, 뒷면에는 톱날 모양의 가는 복합선의 무늬가 있다. 전 시대의 거친 무늬에 비해 세밀하고 정교한 무늬를 새긴 것이 특징이다. 충청남도에서 출토되었고 현재 숭실대에 소장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정문경’이다.    우리말샘

주4

충청남도 논산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의 청동 방울. 포탄 모양으로 높이는 약 15.7cm이고, 나무 봉의 끝에 끼워서 의례용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국보이다.    우리말샘

주5

청동기 시대부터 쓰기 시작한, 방울 소리를 내는 의기(儀器). 몸체는 원뿔대를 누른 모양이며 단면은 은행 알 모양이고 위에 반원형 고리가 달려 있다.    우리말샘

주6

고깔 또는 버섯 모양의 머리에 원통형의 곧은 몸체가 달리고 한두 개의 도드라진 띠가 돌려져 있는 기구. 수레 굴대 위에 놓인 앉는 자리의 둘레에 세운 기둥 장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말샘

주7

가지 양 끝에 방울이 달린 아령 모양의 청동 방울. 청동기 시대의 유물로, 제의(祭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국보이다.    우리말샘

주8

판 모양의 얇은 쇠로 만든 도끼. 도구를 만드는 중간 재료나 화폐로도 쓰였다.    우리말샘

주9

장사 지낼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대동강 유역에 있었던 고조선의 마지막 나라. 기원전 194년에 위만이 준왕(準王)을 몰아내고 세운 나라인데, 기원전 108년 우거왕 때 한나라의 무제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1

한사군(漢四郡) 가운데 청천강 이남 황해도 자비령 이북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 기원전 108년에 설치되어 그 뒤 여러 번 변천을 거듭하다가 미천왕 14년(313)에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