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전 화문 동경 ( )

나전 화문 동경
나전 화문 동경
공예
유물
국가유산
통일신라시대 때 제작된 청동제 거울.
이칭
이칭
나전 단화금수문 경(螺鈿團花禽獸文鏡)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나전 화문 동경(螺鈿 花文 銅鏡)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71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통일신라시대 때 제작된 청동제 거울.
개설

1971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나전 화문 동경(螺鈿花文銅鏡)은 화려한 꽃과 여러 가지의 동물무늬를 나전 기법으로 장식한 거울이다. 나전 이외에도 호박(琥珀), 터키석과 같은 보석들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내용

나전 화문 동경의 지름은 18.6㎝로 가야 지방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거울 뒷면은 진주목걸이처럼 작은 원을 연이어 배치한 연주문(連珠文)으로 공간이 크게 분리되었다. 안쪽은 세 개의 작은 꽃들로, 바깥쪽은 낮은 산봉우리와 작은 새, 크고 작은 꽃들, 두 마리의 사자가 마주해 있다. 꽃과 꽃잎은 나전을 뚫어 가운데에 붉은 호박을 넣어 표현하였고, 나전의 표면 위에 음각선으로 세부를 자세히 묘사하기도 하였다. 바탕에는 푸른색의 보석 조각들이 두꺼운 칠(漆)로 촘촘히 박혀 있다. 전체적으로 거울은 푸른색의 터키석, 붉은 호박, 흰 자개가 색상 대비를 이루며 상당히 화려한 편이다. 이와 유사한 기법으로 제작된 나전 거울들이 현재 일본 나라[奈良] 도다이지[東大寺]의 쇼소인[正倉院]에 전해지고 있다.

특징

통일신라시대에는 금, 은, 여러 가지 보석들을 칠로 붙여 표면을 장식하는 기법이 성행하였다. 특히 이 거울에서 볼 수 있는 나전 기법은 야광패(夜光貝), 전복 등의 껍질을 얇게 저며 칠로 박거나 붙이는 기법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중국 당나라에서 통일신라의 왕실로 이 같은 공예품들이 전해졌던 기록을 볼 수 있고, 경문왕(景文王, 재위 861~875년) 때 당나라로 보낸 신라의 공물에도 슬슬전금침통(瑟瑟鈿金針筒)이 적혀 있어 9세기경 통일신라의 나전 기법이 상당한 수준까지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현존하는 공예품 중 나전 기법을 사용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고려시대 때 크게 발전한 나전 칠기와 연결되는 공예 기법으로서 통일신라 때의 국제적인 감각과 당시의 수준 높은 공예 기술을 대변하는 자료로서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금은보화: 한국 전통 공예의 미』(삼성미술관 리움, 2013)
『문화재대관: 국보─금속 공예』(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2008)
『고려경 연구』(이난영, 신유출판사, 200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