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풍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개념
해양과 육지의 비열 차이로 인해 발생하여 낮에 해양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목차
정의
해양과 육지의 비열 차이로 인해 발생하여 낮에 해양에서 육지로 부는 바람.
개설

낮에는 육지가 해양보다 빠르게 가열되므로 육지에서는 상승기류가 발달하여 공기밀도가 낮아진다. 반면 밤에는 육지가 해양보다 빠르게 냉각되므로 육지의 공기밀도가 높다. 그러므로 낮에는 해양에서 육지로 부는 해풍이 발달하고, 밤에는 그 반대로 육풍이 발달한다. 밤에는 낮보다 해양과 육지 사이의 온도 차이가 적어 해풍이 일반적으로 육풍보다 강하다.

내용

해안지방에서 수륙분포의 차이로 해양과 육지의 비열 차이가 발생하여 하루를 주기로 풍향이 바뀌는 바람을 해륙풍이라 한다. 이 바람의 발달에 중요한 것은 해양과 육지 간의 온도 차이이며 그것이 클수록 더욱 뚜렷하게 발달한다.

열대지방에서는 거의 연중 해풍이 발달하지만 중위도 지방에서는 봄철과 여름철에만 느낄 수 있다. 해풍의 강도나 영향을 미치는 범위도 열대지방에서 탁월하다. 열대지방에서 연안에 한류가 흐르는 경우는 해양과 육지의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해풍이 더욱 탁월하다.

해풍은 육지가 가열된 후인 오전 중반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일 최고기온이 출현하는 시간 무렵에 그 두께와 강도가 가장 강화된다. 이때 해풍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열대지방에서는 해안선에서 100㎞ 이상, 중위도지방에서는 30㎞ 정도까지 확대된다. 해풍의 두께는 얇아서 최적조건하에서도 수 ㎞에 불과하다. 해풍이 강할 때는 순간적으로 기온을 떨어뜨리고 상대습도를 높이기도 하며 주1를 발생시킬 때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름철 해안에서는 해풍이 불어올 때 해무가 발생하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해풍은 강수를 강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미국의 플로리다에서는 주2에서 불어오는 해풍인 동풍과 주3에서 불어오는 해풍인 서풍이 만나서 수렴하기 때문에 많은 강수가 발달하며 뇌우 빈도도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해풍이 수렴하기 때문에 뇌우현상이 비교적 많은 지역으로 태안반도의 서산지방이 알려져 있다.

해안에서는 안개 빈도가 적지만 일단 낀 안개는 쉽게 걷히지 않는다. 해안에서의 안개는 육지를 덮고 있는 공기가 데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다로부터 더운 공기가 들어오면 두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안개가 발생한다. 이런 안개를 해무라고 하며 영국이나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또한 해무는 골짜기의 안개와는 달리 끼는 시각이나 걷히는 시각이 불규칙하다. 해무는 전적으로 바람의 방향에 따라서 끼거나 걷힌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바람이 불어올 때 끼고 바다로 바람이 불어갈 때 갠다. 한밤중에도 끼고 대낮에도 낄 수 있다. 영동지방이나 서해안에서 볼 수 있는 안개는 대부분 이런 경우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기후&문화 산책』(이승호, 푸른길, 2009)
『기후학』(이승호, 푸른길, 2007)
주석
주1

바다 위에 끼는 안개. 우리말샘

주2

유럽ㆍ아프리카 대륙과 남ㆍ북아메리카 대륙을 분리하는 대양. 오대양의 하나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며, 지구 표면적의 약 6분의 1을 차지한다. 면적은 8244만 1000㎢. 우리말샘

주3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남 해안에 있는 큰 만. 플로리다반도, 유카탄반도와 쿠바섬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서북쪽 연안에는 세계적인 유전이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승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