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상감 모란유문 병 ( )

목차
관련 정보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공예
유물
문화재
15세기 제작되었으며 몸통에 상감기법으로 모란과 버드나무가 장식된 분청사기병(粉靑沙器甁).
정의
15세기 제작되었으며 몸통에 상감기법으로 모란과 버드나무가 장식된 분청사기병(粉靑沙器甁).
내용

200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분청사기상감모란유문병(粉靑沙器象嵌牧丹柳文甁)은 구연부가 활짝 벌어졌으며, 몸통은 아래쪽이 넓고 위로 올라가며 완만하게 좁아져 전체 형태에 안정감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병은 고려시대 후기 상감청자에서부터 조선시대 분청사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만들어졌으며, 고려시대 후기 청자에 영향을 준 중국 원(元)의 자기는 특별히 ‘옥호춘(玉壺春)’이란 이름으로 불리었다. 원대(元代) 옥호춘병은 산화코발트를 안료로 사용하여 그림을 그린 청화백자(靑畵白磁)가 대부분이다. 같은 시기에 고려에서 만들어진 상감청자병은 그 장식기법이 붉은 색의 자토(赭土)와 흰색의 백토(白土)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상감기법이었다. 이러한 고려 말 상감청자의 연속선상에서 제작된 조선시대 초기의 분청사기에도 상감기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때에는 고려 말에 비하여 면상감기법(面象嵌技法)의 사용이 늘어난 차이가 있다.

특징

문양장식은 중심문양대인 몸통의 위쪽인 어깨에는 직선위주의 연판문(蓮瓣文)을, 아래쪽에는 구부러진 곡선을 백상감기법으로 표현하였다. 몸통에는 양쪽에 대칭을 이룬 버드나무를 사이에 두고 앞뒤로 꽃과 잎이 넓은 면(面)으로 표현된 모란문을 장식하였다. 두 개의 모란문은 표현방식이 대조적인데 하나는 활짝 핀 꽃송이와 잎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으며, 다른 하나는 반대면에 사실적으로 묘사된 모란문과 비교할 수 없다면 모란문으로 인식하기 어려울 만큼 반추상화된 표현이 주목된다. 백상감기법으로만 표현한 버드나무잎과 모란잎의 표현과는 다르게 버드나무줄기와 모란문의 윤곽선은 흑백상감기법을 함께 사용하여 거친 듯 활달한 문양에 다양한 변화를 주었다. 또 모란문의 표현에서도 사실적인 모란문은 꽃송이의 윤곽만을, 그리고 반추상화된 모란문은 꽃과 잎 전체의 윤곽에 흑상감선을 둘러 동일한 소재를 다르게 표현하였다. 구연부의 일부가 보수되었으나 문양이 표현된 몸통과 굽은 원형대로 잘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전기인 15세기 초반의 분청사기에는 고려 후기 상감청자의 여운과 함께 새로운 조선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요소가 공존한다. 2007년 보물로 지정된 분청사기상감모란유문병은 형태와 문양, 장식기법 등에서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 예이다. 즉 병의 형태와 흑백색상감기법을 사용한 점은 고려후기 상감청자의 전통이 지속된 요소이고, 모란꽃송이와 잎을 넓은 면(面)으로 표현한 점과 그 표현 방식이 사실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화한 점은 새로운 조선의 분청사기다운 면모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007년 보물로 지정된 분청사기상감모란유문병은 15세기 전반의 시대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결하고 활달한 분위기 안에 문양의 표현기법에 세심한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하고 참신한 미감을 지닌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분청사기명품전』(호림박물관, 2004년)
『도자공예』(솔, 2004년)
『호림박물관명품선집Ⅰ』(호림박물관, 1999년)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경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