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정 필적 ( )

서거정 필적 / 기순 시1
서거정 필적 / 기순 시1
서예
문헌
문화재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서거정의 행서 필적을 모아 엮은 서첩.
이칭
이칭
천사사한진적(天使詞翰眞蹟)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서거정 필적(徐居正 筆蹟)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0년 01월 04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서거정의 행서 필적을 모아 엮은 서첩.
서지적 사항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필사본, 첩장, 1첩. 38.2×17.6㎝

내용

「서거정 필적(徐居正 筆蹟)」은 1476년(성종 7) 1월말 우리나라에 온 명나라 사신 호부낭중(戶部郞中) 기순(祁順:東莞人, 1460년 진사, 자 致和, 호 巽川)과 사신일행을 맞이했던 원접사(遠接使) 서거정(徐居正)의 글씨가 함께 실려 있는 서첩이다. 이 서첩의 표지에는 ‘천사사한진적(天使詞翰眞蹟)’이라 쓰여 있다. 표지를 제외한 서첩의 안쪽에는 기순의 필적 3면, 서거정의 필적 3면, 필자미상의 발문 2면이 실려 있다.

서첩 앞쪽에는 기순이 40일쯤 머문 뒤 3월 11일에 의주 의순관(義順館)에서 당시 통역을 맡았던 사역원 정(司譯院正) 장유화(張有華)에게 지어 써준 오언장시(五言長詩)가 실려 있다. 그리고 서첩 뒤쪽에는 기순이 사신으로 왔던 1476년 당시 원접사(遠接使) 겸 관반(館伴) 겸 반송사(伴送使)를 맡았던 좌참찬 서거정이 그해 6월 갑술일(3일)에 역시 장유화에게 지어 써 준 「증장원정서(贈張院正序)」가 실려 있는데 앞부분은 탈락되어 있다. 서첩의 말미에는 이 서첩을 얻은 사람이 ‘무신년(1718년)에 이 필적을 김홍기(金弘基:자 復初)에게서 얻어 이를 첩으로 장황했다’는 1736년(영조 12) 9월 14일의 발문이 함께 첨부되어 있다.

이 서첩에 실린 서거정의 글씨는 조선전기에 유행했던 송설풍과는 달리 특정한 서법을 따르지 않는 자유분방하고 개성이 강한 독특한 필법을 보이고 있다.

서거정의 행서 원문은 그의 문집인 『사가집(四佳集)』권6 「증장원정서(贈張院正序)」에 실려 있으며, 『통문관지(通文館志)』권7에도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초기의 서예유물은 매우 희귀한데, 이 서첩은 원형 그대로 남겨진 15세기 조선의 문인명필 서거정의 대표적인 필적이다. 뿐만 아니라 명나라 사신의 필적이 함께 실려 있어 양국의 교류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필적이다. 각 글씨 끝에는 연월일과 관직, 인명(人名) 그리고 자호(字號)가 기록되어 있고 이 필적의 전래과정을 알려주는 영조 12년의 발문은 작품의 가치를 한층 높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옛글씨』(문화재청, 예맥, 2009)
집필자
유지복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