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계만호부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1369년(공민왕 18) 북원(北元)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계(江界)에 설치한 만호부(萬戶府).
이칭
이칭
강계부, 강계도호부
목차
정의
1369년(공민왕 18) 북원(北元)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계(江界)에 설치한 만호부(萬戶府).
내용

1369년(공민왕 18)에 원과의 관계 단절을 위한 동녕부(東寧府) 정벌을 앞두고 국경의 군사요지인 서경(西京)·안주(安州)·의주(義州)·이성(泥城)·강계 등에 만호부를 설치하였다. 강계는 1361년(공민왕 10)에 독로강만호(禿魯江萬戶)라 칭하다가 1369년에 만호부로 개명한 것이다. 만호부가 설치된 강계·이성 등은 납합출(納哈出), 고가노(高家奴) 등 여진이 자주 침입하는 지역이었다. 만호부는 몇 개의 군(軍) 또는 익(翼)으로 구성되었는데 강계만호부는 진변(鎭邊), 진성(鎭城), 진안(鎭安), 진영(鎭寧) 등 4군으로 구성되었다.

만호부 제도는 원의 제도를 받아들인 것이지만 기본적으로는 군사·행정상의 요지인 큰 주(州)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있는 주·현(州縣)을 이에 예속시킨 고려 전기의 분도제(分道制)와 유사한 방어체제였다. 만호부의 지휘체계는 상만호(上萬戶)·만호(萬戶)·부만호(副萬戶) 등의 상급 지휘부와 익의 지휘자인 천호(千戶), 그리고 하급지휘관인 백호(百戶)·통주(統主) 등으로 이루어졌다. 상급지휘관인 만호는 중앙의 고관 중에서 지방 사정에 밝은 지방 출신자가 임명되었고 천호 이하 하급 지휘관은 토착세력가들로 임명되었다. 만호부를 구성하는 익군(翼軍)은 병농일치(兵農一致)의 군대로서 모든 장정이 익군조직에 소속되어 평상시에는 농경에 종사하다 유사시에는 모두 동원되었다.

이후 조선왕조에 들어와 1403년(조선 태종 3) 강계부(江界府)로 고쳤다. 1423년(태종 13)에 다시 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로 개명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고려후기군사제도연구」(권영국,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5)
「조선초기의 익군」(이재룡,『조선초기사회구조연구』, 일조각, 1984)
「고려말기의 익군」(이기백,『]이홍직박사회갑기념한국사학논총』, 1969:『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근세 조선전기 군사제도의 성립」(민현구,『한국군제사-조선전기편-』, 육군본부, 196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